초록

이 글은 이러한 ‘리일분수’의 관점을 지양하고, 어울림이라는 관점으로 <서명>의 논리 구조를 분석한다. 왜냐하면 기(氣)를 초월하는 리(理)의 선차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리의 하위 개념으로 기를 규정하는 ‘리일분수’의 관점으로는 리(理)를 기(氣)의 조리로 여기며 기와 리의 어울림을 중시하는 <서명>의 우주관을 바르게 규명하는 면에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서명>의 저자인 장재는 이 우주를 큰 어울림[太和]으로 여긴다. <서명>의 관점에 의하면 모든 존재 근거는 서로 다른 성질의 음과 양으로 구성된 태허(太虛)로서의 기(氣)이다. 리(理)는 기를 초월하여 기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 안에 있는 기의 규율이다. 하늘과 땅은 이러한 기와 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질서 있게 운행한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생겨난 사람은 하늘과 땅의 어울림을 본받아 서로 어울려 살아야 하는 존재이다. 만물 역시 하늘과 땅 사이에서 생겨난 것으로 사람과 함께 어울려야 할 대상이다. <서명>의 이러한 관점은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내 안에 귀속시키거나 나의 정체성을 다른 사람에 귀속시키는 동일화의 논리나 상대를 배타적으로 밀어내는 배제의 논리가 아니라,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건강한 공동체 문화의 건설을 위해 평화롭게 협의하고 합의하는 어울림의 논리에 부합한다. 곧 <서명>은 음과 양의 어울림, 기와 리의 어울림, 하늘과 땅의 어울림, 사람과 천지(天地)의 어울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어울림, 나와 부모의 어울림, 나와 형제 및 형제와 형제의 어울림, 나와 뭇사람 및 뭇사람들끼리의 어울림, 사람과 만물의 어울림 등의 논리 구조를 띠고 있다. 세계에 존재하는 존재자들이 서로를 존중하며 평화로운 어울림의 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서명>의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 이기심을 토대로 하는 배타적인 경쟁의식의 확대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양극화와 환경 파괴를 비롯한 온갖 소외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면에 사상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키워드

서명, 어울림, 음과 양, 하늘의 길, 사람의 길, 뭇사람, 사람과 만물.

참고문헌(33)open

  1. [기타] / 昆山縣新修文宣王廟記

  2. [기타] / 龜山集

  3. [기타] / 南軒集

  4. [기타] / 論語

  5. [기타] / 大學衍義

  6. [기타] / 東銘

  7. [기타] / 孟子

  8. [기타] / 勉齋集

  9. [기타] / 北溪大全集

  10. [기타] / 尙書

  11. [기타] / 西銘

  12. [기타] / 西銘考證講義

  13. [기타] / 西銘解

  14. [기타] / 說文解字

  15. [기타] / 聖學十圖

  16. [기타] / 詩經

  17. [기타] / 禮記

  18. [기타] / 二程文集

  19. [기타] / 二程外書

  20. [기타] / 莊子

  21. [기타] / 箋

  22. [기타] / 戰國策

  23. [기타] / 前漢紀

  24. [기타] / 正蒙

  25. [기타] / 周易

  26. [기타] / 朱子語類

  27. [기타] / 中庸

  28. [기타] / 春秋左傳

  29. [기타] / 玄怪錄

  30. [학술지] 戴瑞坤 / 2007 / 試論張載〈西銘〉與儒家核心價關係 / 동아인문학 12 (12) : 439 ~ 454

  31. [학술지] 이철승 / 2006 / 선진 유가에 나타난 ‘어울림’사상의 논리 구조와 현실적 의미 / 동양철학연구 (46) : 75 ~ 101

  32. [학술지] 이철승 / 2008 / 초기 유가 사상에 나타난 ‘장유유서(長幼有序)’관의 현실적 의의 / 유교문화연구 13

  33. [학술지] 이향준 / 2005 / 「서명(西銘)」의 은유적 구조 / 철학 (84) : 7 ~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