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장재는 종교적인 신(神)의 섭리, 기(氣)를 초월하는 리(理), 절대적인 의지 등과 관계없이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객관 실재를 인정한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객관 실재는 음양의 기(氣)이다. 이 기로 구성된 객관 실재는 그 자체의 내적 법칙에 의해 유기적인 조화를 이룬다. 장재는 하늘과 땅으로 대표되는 자연 역시 이러한 기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는 기에 의해 조성된 하늘의 법칙을 완정한 질서체계로 여긴다. 그는 인간 역시 이러한 기의 산물로 여긴다. 그는 기가 모여 인간을 이루고, 기가 흩어지면 인간은 자연으로 돌아가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곧 인간이란 기에 의해 형성된 자연의 산물이고, 자연이라는 터전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다. 이것은 인간이 자연을 떠나서 살 수 없는 존재임을 드러내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인간은 자연의 법칙인 건도(乾道)와 곤도(坤道)를 잘 따라야 한다. 또한 그는 만물을 인간과 유기적인 관계로 설정하면서도 인간의 특징을 만물과 구별시킨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생물학적인 욕구를 채우는 과정에 최소한으로 식물과 동물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인간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만물을 착취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인간이 인간의 이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만물을 무차별적으로 개발하여 착취한다면 생태계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생태계가 파괴되면 인간의 생존 역시 위태로워진다. 생태계에 대한 장재의 이와 같은 관점은 오늘날 인간과 자연을 유기적으로 바라보는 심층생태론과 유사하지만, 인간을 자연의 부속물로 여기는 일부 심층생태론자들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자연을 이용 대상으로 여기는 과학기술낙관론과 구별된다. 그의 이러한 관점은 자본주의를 경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회생태론자들의 주장처럼 자본가의 탐욕스러운 이기심을 비판할 수 없었지만, 자연을 인간의 이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대상으로 여기지 않은 점에서 사회생태론의 관점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특징과 자연의 특징을 구별하여 각각의 고유한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인간과 자연의 평화로운 어울림을 추구하는 장재의 생태관은 오늘날 심각하게 나타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사상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키워드

장재, 생태관, 심층생태론, 과학기술낙관론, 사회생태론, 자연과 인간, 만물과 인간.

참고문헌(33)open

  1. [기타] / 國語

  2. [기타] / 孟子

  3. [기타] / 書經

  4. [기타] / 詩經

  5. [기타] / 禮記

  6. [기타] / 莊子

  7. [기타] / 周易

  8. [기타] / 中庸

  9. [기타] / 春秋左傳

  10. [기타] / 『張載集』(「西銘」, 「拾遺」, 『正蒙』, 『橫渠易說』)

  11. [학술지] 김미림 / 2005 / 생태철학으로서의 장재의 기철학에 대한 연구 / 중국철학 13

  12. [단행본] 林樂昌 / 2012 / 正蒙合校集釋 / 中華書局

  13. [단행본] 林樂昌 / 2012 / 論張載的生態倫理觀及其天道論基礎-兼論張載生態倫理觀的現代意義, In 儒學與生態文明論文集 下冊 / 中國人民大

  14. [단행본] Mary Evelyn Tucker / 2010 / 생태론적 우주론으로서의 기철학, In 유학사상과 생태학 / 예문서원

  15. [단행본] 서유석 / 2012 /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 메이데이

  16. [학술지] 모영환 / 2010 / 先秦時代‘天人關係論’의 양상과 張載의 계승에 관한 연구 / 대동문화연구 (70) : 201 ~ 228

  17. [단행본] 박준건 / 1994 / 환경과 기술문명, In 삶과 철학 / 동녘출판사

  18. [단행본] 박준건 / 2001 / 생태사회의 사회철학, In 문화와 철학 / 동녘출판사

  19. [학술지] 안은수 / 1993 / 중국사상의 추이 : 장재와 정이의 자연인식 / 동양철학연구 14

  20. [기타] 王夫之 / 張子正蒙注

  21. [단행본] 喩博文 / 1990 / 正蒙注譯 / 蘭州大學出版社

  22. [학술지] 이상선 / 2008 / 장재의 자연계에 대한 철학적 이해 / 동서철학연구 (50) : 215 ~ 239

  23. [단행본] 李哲承 / 2005 / 新世纪环保问题与王船山的自然观, In 船山學新論 / 湖南人民出版社

  24. [단행본] 李哲承 / 2012 / 张载哲学体现的生态观现实意义, In 儒學與生態文明論文集 上冊 / 中國人民大

  25. [학술지] 이철승 / 2012 / <서명>에 나타난 어울림 사상의 논리 구조와 의의 / 동양철학연구 (69) : 303 ~ 328

  26. [학술지] 장윤수 / 1992 / 장재(張載)의 우주론 -<정몽(正蒙)>을 중심으로 하여 / 퇴계학과 유교문화

  27. [단행본] 제레미 리프킨 / 2008 / 엔트로피 / 세종연구원

  28. [기타] 朱熹 / 西銘解, 朱子語類

  29. [기타] 蔡沈 / 書經集傳

  30. [단행본] 최종덕 / 2001 / 환경위기와 생태학적 자연관, In 문화와 철학 / 동녘출판사

  31. [학술지] 함현찬 / 2005 / 張載哲學과 環境問題 / 동양철학연구 (44) : 283 ~ 318

  32. [단행본] 許寧 / 2012 / 張載關學的生態哲學意蘊, In 儒學與生態文明論文集 下冊 / 中國人民大

  33. [기타] 黄榦 / 勉齋集 卷34, 雜著‧西銘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