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21.jpg
KCI등재 학술저널

플라톤 대화편 「필레보스」의 교육학적 해석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Plato’s Philebus

  • 86

본 연구는 플라톤의 후기 대화편인 「필레보스」에 나타난 플라톤의 견해, 그 중에서 도 특히 ‘적도’에 관한 견해를 고찰하고 그것이 가지는 교육학적 함의를 드러내기 위한 연구이다. 「필레보스」의 해석에서 중요한 점은, 첫째로 그 대화편에서 어째서 ‘쾌락’에 대한 길고도 상세한 논의가 다루어지는가 하는 점, 그리고 둘째로 거기에 나타난 ‘적도’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점이다. 우주론적 논의에 나타나 있는 적도는 만물의 궁극적 근원으로서의 ‘신적(우주적) 지성’(또는 이데아)과 다른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그것은 ‘신적 지성’이 이데아의 초월적 성격을 부각시킨다면, 만물에 내재하고 있는 ‘신적 지성’으로서의 ‘적도’는 이데아의 내재적 성격을 부각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필레보스」에 나타난 ‘신적 지성’과 ‘적도’는 「중용」에 나타난 천명(天命)과 성(性) 또는 중(中)과 근원적 동질성을 지닌다. 이데아의 내재적 성격에 주목한다면, 교육목적으로서의 ‘좋은 삶’은, 교육과 무관하게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의하여 규정되며, 교육을 통하여 확립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s of Plato s later dialogue, Philebus, especially focusing to the concept of ‘measure’(to metrion),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work. Why the long and detailed discussion of pleasure is dealt with, and what i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measure’ are the two important questions on the reading of Philebus. The concept of ‘measure’ shown in the cosmological discussion cannot be interpreted as being different from the ‘divine intelligence’(or ‘Idea’) as the ultimate cause of all things. It can be said that, ‘divine intelligence’ reveals the transcendent nature of the Idea, ‘measure’ shows the immanent nature of it. In this regard, ‘the divine intelligence’ and ‘measure’ in the Philebus have the homogeneity with the ‘heavenly order’(天命) and ‘equilibrium’(中) in the Doctrine of Means(「中庸」). Considering the immanent nature of ‘Idea of good life’, the good life as the aim of education can be defined and determined only by educational practices.

Ⅰ. 서론

Ⅱ. ‘이데아’ : 삶의 초월적 기준

Ⅲ. ‘적도’ : 삶의 내재적 기준

Ⅳ. 논의 : ‘좋은 삶’과 교육의 관련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