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주년이 지나면서 더욱 통일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논의가 뜨겁다. 그러나 정작 통일의 주역이 되어야 할 청소년과 대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무관심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에 FGI(Focus Group Interview)를통해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통일교육의 필요성, 방향,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서, 대학통일교육의 의의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지고려해야 할 점들을 모색해 보았다. 상대적으로 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학생그룹이었기에 대학통일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통일 준비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통일교육의 방향은 보다 균형감 있게 남북한 문제를 다루면서, 안보교육이 아니라 통일 미래를 생각해 보는 교육이었으면 한다고 응답하였다. 통일교육의 내용은 북한사회에 대한정확한 이해와 주민들에 대해 알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을 다루었으면 좋겠다고 답하였고, 교육방법은 학생들이 중심이 된 발표와 토론, 현장탐방 및 비교과활동 형태의 체험형으로 진행되길 기대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향후 대학통일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대학사회내에 통일친화적인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즉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일관련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도록 정책적인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통일교육의 외연을 넓혀 인문교양교육으로의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역사교육, 평화교육, 다문화교육, 인권교육, 인문학 교육, 리더십교육과 같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통일교육의 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평생교육의 측면으로 연속성을 갖고 대학통일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과 시민사회가 연계하여 통일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대학통일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통일교육의 동반자로서 시민사회를 활용하여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일의식을 확산하는데 다양한 구성원간의 교집합을 넓혀가도록 대학통일교육이 의미 있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대학통일교육, 교양교육, 거버넌스, 체험 프로그램, 통일의식

참고문헌(31)open

  1. [보고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14 / 2014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보고서

  2. [기타]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14 / 2014 통일문제이해

  3. [단행본] 통일부 / 2015 / 2015 통일백서

  4. [단행본] H. Rosovsky / 1990 / 대학, 갈등과 선택 / 삼성경제연구소

  5. [학술지] 김진숙 / 2014 / 통일전 독일의 ‘독일문제에 대한 교육지침서’와 한국의 ‘통일교육지침서’ 비교 / 비교교육연구 24 (4) : 29 ~ 55

  6. [학술지] 김형수 / 2009 / 한국통일교육 거버넌스 구성과 실행과제 / 한국동북아논총 14 (2) : 305 ~ 328

  7. [학술지] 박광득 / 2013 /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의 딜레마와 해결과제 / 통일전략 13 (3) : 119 ~ 157

  8. [학술지] 박광득 / 2014 / 통일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 통일전략 14 (1) : 127 ~ 160

  9. [학술지] 박성춘 / 2012 / 통일교육 학술 연구 문헌 분석 / 윤리연구 1 (84) : 275 ~ 308

  10. [학술지] 변종헌 / 2013 / 통일 필요성 논거의 새로운 정향 / 윤리연구 1 (90) : 115 ~ 136

  11. [기타] 손동현 / 2015 / 교양교육의 내용에 대하여 - 교양교육과정은 기초학문 중심으로 편성하는 것이 적절한가?, 제5회 교양기초교육 관련 집단 컨설팅 자료집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12. [학술지] 송정호 / 2009 /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정책과 통일교육 거버넌스의 개선방향 / 평화학연구 10 (1) : 165 ~ 187

  13. [학술지] 우평균 / 2009 / 통일교육의 구상과 실천과제: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 평화학연구 10 (1) : 143 ~ 164

  14. [학술지] 이미경 / 2014 / 대학생 통일의식 제고를 위한 통일교육 방안 모색 / 한국동북아논총 19 (1) : 175 ~ 195

  15. [학술지] 이범웅 / 2009 / 남북한 주민간의 가치 통합의 모색 -공동체주의의 통합 원리를 중심으로- / 윤리연구 1 (75) : 99 ~ 129

  16. [학술지] 정탁준 / 2013 / 통일교육의 효율화를 위한 ‘통일의 필요성 수업모형’ 연구 / 윤리연구 1 (88) : 301 ~ 322

  17. [학술지] 조정아 / 2007 /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 통일정책연구 16 (2) : 285 ~ 306

  18. [학술대회] 통일부 / 2015 / 분단 70년, 청소년 통일의식 어떻게 할 것인가? / 학교 통일교육 발전 공개 세미나 자료집

  19. [학술대회] 통일부 통일교육원 / 2013 / 통일교육 발전 전문가 포럼 / 제1회 통일교육주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20. [학술대회] 한국교육개발원 / 2015 / 통일의식 제고를 위한 학교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 제70차 KEDI 교육정책포럼 통일교육발전 대토론회 자료집

  21. [단행본] 김영윤 / 2009 / 독일, 통일에서 통합으로 / 통일부

  22. [인터넷자료] 김영민 / 1090운동에 청년세대가 앞장서야죠 / 중앙일보

  23. [기타] 박용근 / 2015 / 정부, 통일교육 강화 추진 논란 / 경향신문 2015.04.01

  24. [인터넷자료] 신수지 / [여론조사] 국민 61.3% "남북 통일 필요하지만 서두를 필요 없다 / 데일리 한국

  25. [인터넷자료] 왕길환 / 반크, '통일 한국'의 미래 알리는 영문 엽서 제작 / 연합뉴스

  26. [인터넷자료] 이영찬 / (사)북한민주화 네트워크, 성공적인 통일을 위한 대학생 300명 통일대토론회 / 코너스

  27. [인터넷자료] 이영찬 / 숭실대, 대학 최초로 ‘통일교육’위한 MOU체결 / 코나스

  28. [인터넷자료] 장세풍 / 숙대, 통일 여성전문가 양성한다 / 내일신문

  29. [기타] 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 2015 / 2015 전국 대학생 통일 모의 국무회의 경연대회 시행요람

  30. [인터넷자료] 정운찬 / 통일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 중앙일보

  31. [기타] 정철근 / 2015 / 김일성대와 학술행사 다녀온 박명규 서울대 교수-북한 김일성대도 대학개혁, 국제화를 고민하고 있다 / 중앙일보 201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