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제물론」편의 마지막에 등장하며 가장 난해하면서도 몽환적인 성격으로 이해를 어렵게 해 온 ‘호접몽’에 나타나는 물화(物化)의 구조와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장자가 호접몽 외에도 꿈에 대한 다른 언급들을 통해 꿈의 의미가 ‘깨어남[覺]’을 계기로 한 언어적 인식의 한계를 드러내는데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한계에 대해 우선 언어[言]와 뜻[意]의 관계, 도(道)와 언어[言]의 관계, 그리고 물(物)과 언어[言]의 관계를 「제물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장자는 무엇보다도 도(道)에 대한 인간의 언어적 인식이 지닌 한계를 인간의 인식이 구축되는 네 가지 단계로 설명하며, 인식의 경계[封] 및 언어의 경계[畛]을 통해 상대적 인식론의 세계가 구축되었음을 말한다.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앎을 드러내지 못하는 인간의 비극성으로 인해 인간 인식은 늘 한계에 부딪친다고 본 것이다. 장자는 이러한 인식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인식하는 자아와 몸이라는 형체를 잊고[喪我], 밝음[明]으로서 하는 인식을 통해 도추(道樞)에 머물 수 있다고 보았다. 무엇보다도 장자는 존재의 실상과 언어의 간격을 꿈으로 드러내어 꿈이 물화의 구조를 드러내는 인식의 창임을 보여주었다. 장자에 있어 깨달음‧자각이란 꿈과 같은 물화의 작용이 도를 원천으로 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깨어남’은 깨어났다고 생각되는 ‘주체’라는 실상이 사실은 한갓 일물(一物)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다. 꿈속에서는 확연하게 나비, 혹은 장주였지만 꿈을 깨고 나니 장주였는지, 나비였는지에 대한 인식의 확실함이 모호해져버린 것이다. 그러므로 꿈의 깨어남이라는 것의 기능은 확실하다고 여겼던 인식의 기반이 무너지면서 동시에 존재의 참 속성이 무(無)임을 자각하는 데 있다.

키워드

호접몽(胡蝶夢), 물화(物化), 깨어남[覺], 나를 잊음[喪我], 도추(道樞), 밝음[明], 진지(眞知).

참고문헌(31)open

  1. [단행본] 王弼 / 1998 / 道德經, 四部要籍注疏叢刊 / 中華書局

  2. [단행본] 陳鼓應 / 1994 / 莊子今注今譯 上, 中, 下 / 中華書局

  3. [단행본] 郭慶藩 / 1980 / 莊子集釋, 一, 二 / 中華書局

  4. [단행본] 郭象 / 1995 / 莊子 / 上海古籍出版社

  5. [기타] 朱熹 / 四書集註

  6. [단행본] 金谷治 / 1993 / 中國思想を考える / 中公新書

  7. [단행본] 勞思光 / 1992 / 중국철학사(고대편) / 탐구당

  8. [단행본] 로버트 앨린슨 / 2004 / 장자 - 영혼의 변화를 위한 철학 / 그린비

  9. [단행본] 福永光司 / 1992 / 莊子, 內篇 / 朝日新聞社

  10. [단행본] 蜂屋邦夫 / 1994 / 莊子-超俗の境へ / 講談社

  11. [단행본] 參三樹三郞 / 2006 / 老子-莊子 / 講談社

  12. [단행본] 안동림 / 1993 / 莊子 / 현암사

  13. [단행본] 宇野哲人 / 1992 / 中國哲學 / 講談社

  14. [단행본] 이강수 / 1997 / 노자와 장자 / 길

  15. [학위논문] 김경희 / 2006 / 『장자』의 변과 화의 철학

  16. [학술지] 橋本敬司 / 1998 / 荘子の遊ぶ身体-グロテスクなカラダの意味 / 中国学研究論集 1

  17. [학술지] 橋本敬司 / 1999 / 荘子の胡蝶の夢-物化の構造と意味 / 哲学 51

  18. [학위논문] 郝晋杰 / 2009 / 莊子言語觀の解析

  19. [학술지] 김태희 / 2011 / 장자 나비의 꿈을 소재로 한 인터렉티브 비디오 구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1 (2) : 29 ~ 38

  20. [학술지] 노혜숙 / 1984 / 莊子胡蝶夢攷 / 중국학연구 2

  21. [학술지] Robert E. Allingson / 1989 / On the question of relativism in the Chuang-tzu / Philosophy East and West 30 (1)

  22. [학술지] Rorbert W. Gaskin / 1997 /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A Reanalisis of ChuangTzu's Butterfly Dream /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2 (1)

  23. [학술지] 송정애 / 2015 / 장자 철학에서 인식의 본질과 그 깨어남에 대한 고찰 / 철학논총 81 (3) : 105 ~ 125

  24. [단행본] 유인희 / 1982 /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 연세대출판부

  25. [학술지] 이종성 / 2003 / 장자의 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한 반성적 고찰 / 범한철학 (30) : 93 ~ 114

  26. [학술지] 이진경 / 2011 / 장자의 인식론에서 상대주의의 타당성 검토 / 대동철학 (54) : 29 ~ 56

  27. [학술지] 이택용 / 2014 / 『장자』 「齊物論」 胡蝶之夢 우화의 ‘物化’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동양철학 (42) : 119 ~ 153

  28. [학술지] 이택용 / 2015 / 장자철학에서의 物과 心 그리고 힐링 / 동양고전연구 (58) : 267 ~ 302

  29. [학술지] 정재현 / 2003 / 道의 철학과 道의 언어학- 고대 중국의 철학과 언어 - / 양명학 (10) : 279 ~ 300

  30. [학술지] 신순정 / 1999 / 자연과 덕, 그리고 인간老‧莊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19

  31. [학위논문] 신순정 / 2003 / 노장의 덕사상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