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화와 협상교육의 내용과 사회정치적 함의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and its Sociopolitical Implication

倫理硏究
약어 : -
2009 vol.1, no.75, pp.63 - 98
DOI : 10.15801/je.1.75.200912.63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26 회 열람

한국사회의 갈등지수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해관계가 맞서는 갈등상황에서 반대 입장에 대한 관용이 부족하여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미성숙한 민주주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극단적인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민주적으로 상대방과 소통하고 문제에 접근하는 교양 있는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협의적 가치를 내재한 의사소통교육이 중요하다. 본고는 대학 교양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와 협상> 수업사례를 통해 의사소통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정치적 차원의 함의를 고찰해 보았다. 현재 대학사회에서 늘어나고 있는 말하기와 관련한 교양수업은 대체로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방식을 키워주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화와 협상> 교육은 이러한 사고능력을 기반으로 상대의 입장을 고려하는 정서적 측면과 갈등 사안을 협력적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마인드를 키워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의사소통 교육과정은 교수자가 아니라 학생이 중심이 되어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기술과 방법을 익힌다는 점에서 반복적인 실습과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전제로 한다. 궁극적으로 대화와 협상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타자의 입장을 존중하며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해 가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협의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와 책임의식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ocial Conflict Index in Korea is considerably high. In the situation where both parties’ interests conflict each other, Korean society has shown immature democracy, which couldn’t peacefully resolve the conflict because of the lack of tolerance against the counterparty’s position. In terms of upbringing educated citizens, who could democratically communicate with others and approach problems,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is very important, reducing social costs by extreme conflict. Thus, this paper studied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nd its sociopolitical implication through case studies about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class, which is proceeded under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Under current university curriculums, increased liberal education programs, related with speaking, focus on cultivating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in the main. Based on these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 in terms of cultivating mindset which resolves conflicts and considers other’s position by collabora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s. In terms of cultivating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this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class requires the change of teaching skills with various training programs, und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feedback in the class exercise for resolving problems. Ultimately, through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class, and as members of society, students could learn matured citizenship and sense of responsibility by respecting others’ position and reasonably resolving conflicts.

대화, 토론, 협상, 설득, 의사소통교육
Communication, Discussion, Negotiation, Persuasio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 1. [학술지] 곽노성 / 2000 / 한국 협상학 교육의 현재 : 현황 평가와 미래 발전방향 / 협상연구 / 6 (1)
  • 2. [학술대회] 김문수 / 2008 / 사회인을 위한 효과적 의사소통교육 연구 / 방송언어 공동연구발표회
  • 3. [학술대회] 김현주 / 2004 / 국내외 대학 스피치커뮤니케이션 교육현황 - 국내대학 사례 / 2004년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 4. [단행본] 박규철 / 2008 / 그리스 로마 사회의 갈등해소 모델연구-설득과 수사학을 중심으로 / 동과서
  • 5. [학술지] 박헌준 / 2000 / 협상교육 : 경험적 학습을 통한 협상능력개발 / 협상연구 / 6 (1)
  • 6. [단행본] 신희선 / 2008 / 여성리더십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능력 개발 in: 세상을 바꾸는 여성리더십 / 현암사
  • 7. [학술지] 신희선 / 2009 / 사회적 갈등해결을 위한 의사소통기술 개발 / 사고와 표현 / 2 (1)
  • 8. [학술지] 이진남 / 2008 / 사고와 표현 과목의 정체성과 방향성 / 사고와 표현 / 1 (1)
  • 9. [학술지] 정현숙 / 2002 /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고찰해 본 한국적 협상 커뮤니케이션의 스타일과 문제점 : 사회 구성주의 모델을 중심으로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
  • 10. [학술지] 조기숙 / 2002 / 한국대학의 협상 강의안 분석 / 협상연구 / 8 (1)
  • 11. [단행본] 최미리 / 2001 /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 양서원
  • 12. [단행본] 최장집 / 2007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후마니타스
  • 13. [단행본] Brookfield Stephen D / 2008 / 토론-수업을 위한 도구와 기법 / 학이당
  • 14. [단행본] Conger Jay A / 2008 / The Necessary Art of Persuasion in Harvard Business Review on The Persuasive Leader / Harvard Business Press
  • 15. [단행본] Drose Peter W / 2007 /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북스
  • 16. [단행본] Fisher Roger / 2006 / YES를 이끌어내는 협상법 / 장락
  • 17. [단행본] Friedman Milton / 2008 / 자본주의와 자유 / 청어람 미디어
  • 18. [단행본] Gardner Howard / 2008 / 미래마인드 / 재인
  • 19. [단행본] Habermas Jurgen / 2006 / 의사소통행위이론 / 나남출판
  • 20. [단행본] Matthew McKay / 2002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 / 커뮤니케이션북스
  • 21. [단행본] McKeachie Wilbert J. / 2002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대학교수들을 위한 지침서 / 한국문화사
  • 22. [단행본] Motohisa Kaneko / 2008 / 대학의 교육력-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 북코리아
  • 23. [단행본] Pope Loren / 2008 /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 / 한겨레출판
  • 24. [단행본] Phillips,Jack J / 2002 / 글로벌 인적자원개발 / 한언
  • 25. [단행본] Poitras Jean / 2007 / 협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갈등조정의 ABC / 굿인포메이션
  • 26. [단행본] Rifkin Jeremy / 2002 / 소유의 종말 / 민음사
  • 27. [단행본] Rifkin Jeremy / 2009 / 유러피언 드림 / 민음사
  • 28. [단행본] Sennett Richard / 2009 / 뉴캐피탈리즘 / 위즈덤하우스
  • 29. [단행본] Shell Richard / 2006 / 협상의 전략 / 김영사
  • 30. [단행본] Stiglitz Joseph E / 2009 /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 / 21세기북스
  • 31. [단행본] Thompson Leigh L / 2005 / 지성과 감성의 협상 기술 / 한울 아카데미
  • 32. [단행본] Brett, J.M / 2001 / Negotiating Globally : How to Negotiate Deals, Resolve Dispute, and Make Decisions across Cultural Boundaries /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