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고려후기 유학자인 정몽주의 불교이해를 탐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고려시대 불교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순기능을 맡아왔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이르러서는 그것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점차적으로 신유학인 성리학이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불교로부터 유학으로 사상적 전환이 진행되었다. 정몽주의 학문세계는 사장학보다 유학의 기본경전에 기반하였다. 그는 유학의 기본경전 가운데 특히 『주역』에 조예가 깊었다. 그는 불교이해의 밑바탕으로서 『주역』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몽주는 불교의 여러 경전을 통해 교리들을 접하였다. 그는 불교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승려와의 교유도 적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정몽주는 불교와의 관계성을 무시할 수 없다. 한편으로는 불교를 이해하면서도 유학자로서 비판의식을 보이는 지불유자(知佛儒者)적 입장이 정몽주의 특징적 모습이라 하겠다.

키워드

고려후기, 성리학, 정몽주, 불교, 유교.

참고문헌(12)open

  1. [기타] / 四書集註

  2. [기타] / 周易

  3. [기타] / 高麗史

  4. [기타] / 晦軒實記

  5. [기타] / 牧隱詩藁

  6. [기타] / 圃隱集

  7. [단행본] 채상식 / 1986 / 고려중후기 불교사론 / 민족사

  8. [단행본] 허흥식 / 1986 / 고려불교사연구 / 일조각

  9. [학술지] 김인규 / 2007 / 포은 정몽주의 학문관 / 포은학연구 1 (1) : 83 ~ 121

  10. [학술지] 이상익 / 1992 / 정포은의 성리지학에 대한 탐색 / 한국철학논집 2

  11. [단행본] 이정호 / 1980 / 주역정의 / 아세아문화사

  12. [단행본] 최영성 / 2006 / 한국유학통사(상) / 심산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