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儒家의 宗師 孔子는 그의 철학함에 있어서 순수 思辨的 存在를 탐구하는 데에 골몰하기 보다는 인간의 실존적 삶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였으며, 이러한 공자의 철학적 태도에 근거하여 우리는 흔히 儒家 사상을 일러 현실주의 철학이라고 규정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공자의 주장이 인간의 삶에 주어지는 현실적 諸問題를 단순히 개인적 意志나 利己的 기술의 활용 등으로 해결하려는, 이른바 處世術的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人間萬事와 더불어 이를 둘러싼 森羅萬象의 상호 관계를 함께 유념하여, 인간은 天地自然의 理法이며, 萬物의 存在 根據인 하늘의 運行 法則(天道)에 依存하고 있기에, 인간으로서 마땅히 天道를 受容하고 이에 따라야만 한다는 規範的이고 道德的인 삶의 태도를 주창하고 있다. 한편 儒家에서는 하늘의 原理가 땅에서 실현되는 통로를 인간의 言語的 功能인 聖人의 말씀인 ‘天命’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天命으로 탄생하는 太初의 인격적 존재를 ‘民’(百姓)으로 규정하고, 天이 民을 生한 窮極的 理念을 ‘天地 안에서 生命的 意義를 享有하는 百姓의 日用的 삶’으로 提示하고 있다. 아울러 백성의 삶을 위해 하늘은 天道를 實現하는 天命의 代行者인 땅의 指導者(君子)를 천하 백성에게 내려준 것이다. 그러므로 땅 위에서 天意를 바르게 알아듣고 天道에 따라 天下를 다스리는 군자 노릇(治世事業)을 하고자 하면, 위로는 聖人의 말씀을 배우고(學) 아래로는 天下 百姓으로 하여금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人倫을 가르치며. 文物制度를 管掌하여, 百姓의 日用的 삶이 天地 萬物과 더불어 살아가는 平天下의 世界를 成就해야 한다. 이것이 곧 天道가 本來 志向한 理想으로서의 大同的 調和世界이며, 이를 實現하기 위한 君子의 王道 政治를 孟子는 ‘與民同樂’으로 標榜하고 있다. 이러한 天地 萬物의 生命的 展開 過程을 儒家에서는 生成과 中和의 思惟體系로써 解明하고 있으며, 인간이 추구한 窮極的 理念을 ‘天人合一’의 完成으로 理解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論文은 ‘天’과 ‘人’이 서로를 相互 志向하여, 그 人格性과 生命性을 發現하고 授受하는 方式과 通路를, 인간의 言語的 토대인 ‘命’의 問題로 규정하고, ‘天-人 間의 疏通과 一體化의 過程’을 ‘생명적 조화’의 입장에서 정리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하여 天의 人格性이 실현되는 통로로서의 ‘天命’과 그 하늘의 ‘命令’이 추구한 대상으로서의 人間과 萬物의 ‘生命’. 그리고 하늘적 차원의 天命과 萬物적 차원의 生命을 相互 調和 一致시키는 현실적 차원의 ‘使命’을, 聖人. 君子. 百姓의 입장에서 구분하여 고찰함으로써, 儒家 사상의 철학적 構造 體系를 보다 深化. 擴大하는 學問的 토론의 場을 마련해본 것이다.

키워드

天命과 使命. 聖人과 君子. 百姓의 삶. 天人合一. 大同社會

참고문헌(21)open

  1. [기타] / 周易

  2. [기타] / 書經

  3. [기타] / 詩經

  4. [기타] / 禮記

  5. [기타] / 春秋左氏傳

  6. [기타] / 論語

  7. [기타] / 孟子

  8. [기타] / 中庸

  9. [기타] / 大學

  10. [기타] / 老子

  11. [기타] / 聖經

  12. [학술지] 柳南相 / 1984 / 동양철학에 있어서의 주제의 변천 / 동서철학연구회 논문집 :

  13. [학위논문] 金滿山 / 1992 / 易學의 時間觀에 관한 연구

  14. [학위논문] 李鉉中 / 1995 / 역학에 나타난 유가사상의 존재론적 근거

  15. [학술지] 송재국 / 2009 / 周易 ‘百姓 日用而不知’의 本來的 意味에 대한 哲學的 檢討 / 동서철학연구 (51) : 35 ~ 53

  16. [학술지] 송재국 / 2011 / 周易 風雷 益卦 “天施地生”의 順逆的 理解 / 동서철학연구 (60) : 41 ~ 69

  17. [학술지] 송재국 / 2015 / 儒家의 인간 규정에 대한 三才的 意味 / 동서철학연구 (77) : 115 ~ 148

  18. [단행본] 宋在國 / 1996 / 눈들어보니 거기 하늘이 있었네 / 솔 출판사

  19. [단행본] 高懷民 / 1990 / 中國古代易學史 / 숭실대 출판부

  20. [단행본] 勞思光 / 1987 / 中國哲學史 / 탐구당

  21. [단행본] 馮友蘭 / 1980 / 中國哲學史 /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