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상에서 효 윤리의 강조와 그 연장선상에서 조상숭배의식이 강했던 유가에서 부모에 대한 효의 의미는 더욱 각별했다. 이 논문에서는 유가에서 강조해오던 효의 의미를 단절 없는 이어짐의 연속적 사유의 작동기제라는 측면에서, 특히 그 기반으로 농경문화와 긴밀히 연관되면서 더욱 진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쉽게 옮길 수 없는 정착적 생활은 상대적으로 친밀감을 형성했고 부모에 대한 효는 그러한 정감의 현실적 표출이었다. 그러나 유가에서의 효는 부모에 대한 물질적 정신적 봉양을 넘어 제사를 통해 앞선 조상으로, 다시 자손을 통해 무한히 후대로 이어진다는 관점에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기점에 효를 설정한 유가의 인식에서 볼 때, 현존하는 나의 존재는 더 이상 단절된 내가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혈연적 유대감에 기초한 효가 가족주의에 차원에 그치지 않고 타자에 대한 배려의 정신으로 확장가능하다는 점에서 유가의 또 다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농경을 통한 오랜 경험과 지혜는 순환하면서 연계된다는 자연에 대한 통찰력을 낳았다. 이는 호수에 던져진 돌멩이가 동심원 모양의 파장으로 외연을 넓혀가듯이 부모에 대한 친밀한 정감을 보편적 인간애로 확충하는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효를 통해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통시적 사유와 주변의 모든 관계를 연계시키려는 맞물림의 정점에서 자신의 도덕적 수양을 강조했던 것이다. 이처럼 유가에서 효란 삶과 죽음을 관통하고 나와 타자를 연계시키는 도덕 주체의 정립에서 중요한 매개고리였다. 그 속에는 시공간을 관통하여 바람직한 인간다움의 전형을 모색하는 유가의 연속적 사유가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그러한 연속의 의미에는 나와 타자의 바람직한 관계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소통[天人合一]을 지향하는 유가철학의 주요 개념을 함축한다.

키워드

효, 유가, 연속적 사유, 농경문화, 도덕적 수양.

참고문헌(16)open

  1. [기타] / 四書 , 小學 , 禮記 , 周易 , 孝經 , 呂氏春秋

  2. [기타] / 說文解字注 (許愼撰, 段玉裁注)

  3. [단행본] KBS인사이트아시아 유교 제작팀 / 2007 / 유교 아시아의 힘 / 예담

  4. [단행본] 加地伸行 / 1999 / 유교란 무엇인가 / 지영사

  5. [단행본] 가지 노부유키(加地伸行) / 2003 / 침묵의 종교 유교 / 경당

  6. [단행본] 費孝通 / 1998 / 鄕土中國 生育制度 / 북경대학출판사

  7. [단행본] 훼이 샤오 통 / 1995 / 중국사회의 기본구조 / 일조각

  8. [단행본] 김기현 / 2009 / 선비 / 민음사

  9. [단행본] 김태길 / 2001 / 유교적 전통과 현대 한국 / 철학과 현실사

  10. [단행본] 동아시아문화포럼 / 2000 /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 제5호 / 열화당

  11. [단행본] 백종현 / 2003 / 윤리개념의 형성 / 철학과 현실사

  12. [단행본] 이승환 / 1998 /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 고려대학교 출판부

  13. [학술지] 이승환 / 2006 / 朱子 수양론에서 未發의 의미: / 퇴계학보 (119) : 1 ~ 34

  14. [단행본] 캐서린 벨 / 2007 / 의례의 이해 / 한신대학교 출판부

  15. [단행본] 필립 아이반호 / 2008 / 유학, 우리 삶의 철학 / 동아시아

  16. [학술지] 최영진 / 1998 / 조선조 효사상의 이론적 기초: 율곡의 성학집요 효경장 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