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에도시대 일본의 난학과 뉴턴적 물질관의 수용을 物(matter) 개념의 번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일본에 최초로 뉴턴적 물질관을 소개한 사람은 난학자 시즈키 타다오(志筑忠雄)였다. 그는 서양과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뉴턴적 물질관의 기본 개념들인 원자와 공허를 이해했고, 그것을 속자(屬子), 진공(眞空) 등의 새로운 어휘들로 번역했다. 그러나 시즈키는 뉴턴 과학의 物(matter)개념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氣를 중심에 두는 전통 동아시아의 물질관에 의해 재해석했다. 반면, 뉴턴적 물질관의 원자, 공허 개념을 일본에 거의 그대로 소개한 난학자는 아오치 린소(青地林宗)였다. 그는 극미(極微)라는 불교에서 유래된 용어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의미의 원자를 표현했고, 기공(氣孔)으로 원자론의 공허 또는 진공을 묘사했다. 아울러 린소는 종래 동아시아의 물질관을 설명하던 氣를 사실상 공기로 한정하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린소에 이르러 전통적 氣 개념은 뉴턴적 물질관에 의해 재해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난학자 카와모토 코우민(川本幸民)또한 시즈키보다 뉴턴적 物 개념의 이해에 다가갔다고 볼 수 있다. 코우민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을 분자(分子) 혹은 실질(實質)이라고 썼고, 공허를 기공(氣孔)이라고 명명했다. 코우민에 따르면, 물체는 곧 분자(分子)와 기공(氣孔)의 조합에 다름 아니었다. 이 같은 난학자들에 의한 뉴턴적 物 개념의 이해는 메이지 일본의 근대 물리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니시 아마네(西周)의 격물(格物, physics)에 보이는 物 개념은 matter로 한정된 것으로, 니시의 서양 물리학 이해에는 에도시대 고학자들의 영향뿐만 아니라, 난학자들의 영향 또한 배제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물질, 시즈키 타다오(志筑忠雄), 아오치 린소(青地林宗), 카와모토 코우민(川本幸民), 니시 아마네(西周)

참고문헌(40)open

  1. [단행본] 西周 / 1960 / 西周全集, 巻1-4 / 宗高書房

  2. [단행본] 松尾龍之介 / 2007 / 長崎蘭学の巨人 / 弦書房

  3. [단행본] 伊藤俊太郎 / 1999 / 自然 / 三省堂

  4. [단행본] 寺尾五郎 / 2002 / 自然」概念の形成史─中国・日本・ヨーロッパ / 農文協

  5. [단행본] 菅野礼司 / 1999 / 科学は"自然"をどう語ってきたか─物理学の論理と自然観 / ミネルヴァ書店

  6. [단행본] 山田慶兒 / 1978 / 朱子の自然学 / 岩波書店

  7. [단행본] 山田慶兒 / 2002 / 気の自然像 / 岩波書店

  8. [단행본] 岸田知子 / 2010 / 漢学と洋学 / 大阪大学出版会

  9. [단행본] 金子務 / 2005 / 江戸人物科学史 / 中央公論新社

  10. [단행본] 司亮一 / 2004 / 川本幸民 / 神戸新聞総合出版センター

  11. [단행본] 中山茂 / 1984 / 幕末の洋學 / ミネルヴァ書房

  12. [단행본] 湯浅光朝 / 1980 / 日本の科学技術 100年史(上) / 中央公論社

  13. [단행본] 三枝博音 / 1973 / 三枝博音著作集 第12巻 / 中央公論社

  14. [단행본] 貝原益軒 / 1932 / 大和本草 / 春陽堂

  15. [단행본] 辻哲夫 / 1973 / 日本の科学思想 / 中央公論社

  16. [단행본] 太宰春台 / 1967 / 日本経済大典, 第9卷 / 第9卷

  17. [단행본] 平石直昭 / 2001 / 日本政治思想史─近世を中心に / 放送大学教育振興会

  18. [단행본] 丸山眞男 / 1998 / 翻訳と日本の近代 / 岩波書店

  19. [단행본] 青地林宗 / 1978 / 日本科学古典全書 第6巻 / 朝日新聞社

  20. [단행본] 川本幸民 / 1978 / 日本科学古典全書 第6巻 / 朝日新聞社

  21. [단행본] 広瀬元恭 / 1978 / 日本科学古典全書 第6巻 / 朝日新聞社

  22. [학술지] 岡本正志 / 1980 / 明治前半期における「科学」教育の転回 / 科学史研究 133

  23. [학술지] 矢島祐利 / 1942 / 本邦における初期の物理学的研究 / 科学史研究 2

  24. [학술지] 矢島祐利 / 1943 / 本邦における初期の物理学的研究(そのに) / 科学史研究 4 (5)

  25. [학술지] 矢島祐利 / 1943 / 本邦における窮理学の成立(1) / 科学史研究 7

  26. [학술지] 矢島祐利 / 1944 / 本邦における窮理学の成立(II) / 科学史研究 8

  27. [학술지] 矢島祐利 / 1945 / 明治初期における物理学の状態 / 科学史研究 9

  28. [학술지] 矢島祐利 / 1941 / 物理学的科学に関する渡来外国書─オランダ書の部 / 科学史研究 (1)

  29. [단행본] 三枝博音 / 1973 / 三枝博音著作集 卷11 / 中央公論社

  30. [학술지] 丸山眞男 / 1947 / 福澤における実學の転回─福澤諭吉の哲學硏究序說 / 東洋文化研究 (3)

  31. [단행본] 김영식 / 2005 / 주희의 자연철학 / 예문서원

  32. [단행본] 김영식 / 2013 / 유가 전통과 과학 / 예문서원

  33. [단행본] 김영식 / 2008 / 과학, 역사, 그리고 과학사 / 생각의 나무

  34. [단행본] 김영식 / 1986 / 중국전통문화와 과학 / 창작과 비평

  35. [단행본] 유카와 히데키 / 2012 / 보이지 않는 것의 발견 / 김영사

  36. [학술지] 김성근 / 2010 / 동아시아에서 ‘자연(nature)’이라는 근대어휘의 탄생과 정착: 일본과 한국의 사전류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사학회지 32 (2) : 259 ~ 289

  37. [학술지] 김성근 / 2011 / 근세 일본에서의 氣的 세계상과 원자론적 세계상의 충돌 - 志筑忠雄에 의한 ‘屬子’, ‘眞空’, ‘求力’ 개념의 受容을 중심으로 - / 동서철학연구 (61) : 441 ~ 465

  38. [학술지] 김성근 / 2014 / 니시 아마네(西周)의 과학개념 - ‘學’, ‘物理’, ‘格物’을 중심으로 - / 동서철학연구 (73) : 213 ~ 234

  39. [단행본] Isaac Newton / 1952 / Opticks / Dover Pub. Inc

  40. [학술지] Togo Tsukahara / 1994 / Elimination of Qi by Chemical Specification: Shift of Understanding of Western Theory of Matter in Japan / Historia Scientiarum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