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사상사에 있어서 선진 제자학을 위상을 검토하고 아울러 순자사상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여말선초부터 18-19세기에 이르는 지식인들의 문집을 통하여 순자에 대한 이해양상과 시대별 흐름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삼국시대부터 고려 중엽까지는 지식인들이 선진 제자학 가운데 다른 학파나 사상가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비판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여말선초 이래 『맹자』가 유가의 정통 경전으로 확립되면서부터 순자를 비롯한 선진 제가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고려부터 선초에 이르는 지식인들의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으며, 다만 순자에 대한 이해의 심도가 점차 깊어짐을 알 수 있다. 성리학 전성기에 이르면 선초에 비해 순자에 대한 지식인들의 비판 강도가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을 엿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맹자의 성선설을 토대로 한 성리학적 세계관이 이미 확립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성악설을 비판하는 지식인들도 대체로 순자의 다른 사상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원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17세기에 이르면 순자를 법가로 귀결시키는 논의도 일부 보이지만, 주자학의 권위에 도전하거나 실학적 토대 위에서 제자학을 적극 수용하는 경향이 대세를 이루게 된다. 18세기에 이르면 순자에 대한 이해 범위가 보다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글자 고증에 있어서 순자의 원문 및 주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요컨대 조선조 지식인들의 순자 비판은 시종일관 그의 성악설에 근거하며 나아가 분서갱유를 주도한 李斯 등의 법가와 연계시키는 데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이를 제외한 순자의 기타 사상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수용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순자를 비판하고 있는 지식인들은 제자서를 쉽게 접하거나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학문태도를 지녔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諸子學, 異端, 荀子, 性惡說, 法家

참고문헌(22)open

  1. [단행본] 이운구 / 2004 / 동아시아 비판 사상의 뿌리 / 도서출판 길

  2. [단행본] 최영성 / 2006 / 한국유학통사上, 中, 下 / 심산

  3. [단행본] 한국철학사연구회 / 2005 / 한국철학사상사 / 심산

  4. [단행본] 김석근 / 2003 / 중국사상문화사전 / 민족문화문고

  5. [단행본] 윤무학 / 2004 / 荀子(통일제국을 위한 비판철학자) / 성균관대출판부

  6. [단행본] 윤무학 / 1999 / 중국철학방법론(고대철학의 명실론적 조명), / 도서출판 한울

  7. [단행본] 溝口雄三 / 2001 / 中國思想文化事典 / 동경대학출판회

  8. [단행본] 張曙光 / 1997 / 外王之學(荀子與中國文化) / 河南大學出版社

  9. [단행본] 劉志軒 / 1995 / 荀子傳 / 花山文藝出版社

  10. [단행본] 唐淑雲 / 1996 / 治國名儒, 荀子 / 中國華僑出版社

  11. [단행본] 曹增節 / 2000 / 荀子, 一日一語 / 浙江人民出版社

  12. [학술지] 이운구 / 1981 / 정통사상과 이단이론의 비교고찰 / 인문과학 10

  13. [학술지] 부남철 / 1999 / 조선건국기 성리학자들의 이단논쟁 / 정치사상연구 1

  14. [학술지] 부남철 / 1998 / 이덕무의 유교적 이단배척과 윤리관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0

  15. [학술지] 이정주 / 2001 / 조선 건국을 둘러싼 정통과 이단의 충돌 / 韓國史學報 10

  16. [학술지] 김시천 / 2005 / 이단에서 정통으로 / 시대와 철학 16

  17. [학술지] 김형석 / 2006 / 정주학파의 노장이단관 / 韓國哲學論集 18

  18. [학술지] 심경호 / 2007 /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 특히 관자(管子)와 노자(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 한국실학연구 (13) : 365 ~ 405

  19. [학술지] 김철범 / 2007 / 조선 지식인들의 諸子書 독서와 수용양상 / 漢文學報 17 (1) : 111 ~ 142

  20. [학술지] 이영호 / 2008 / 이탁오와 조선유학 / 양명학 (21) : 299 ~ 323

  21. [학술지] 이장희 / 2002 / 중국철학사의 순자평가에 대한 연구 / 동서철학연구 (23) : 57

  22. [학술지] 나종선 / 2006 / 조선조 유학자들의 묵자 이해에 관한 고찰 / 범한철학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