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인격교육의 사회인지적 접근의 특징과 한계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and it's Limits

倫理硏究
약어 : -
2009 vol.1, no.74, pp.251 - 282
DOI : 10.15801/je.1.74.200909.251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428 회 열람

랩슬리와 나바에츠의 사회인지적 접근은 도덕적 기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을 ‘도덕화 된 심리학 연구’라고 비판하며, 도덕심리학의 연구를 사회인지이론 및 사회정보처리 이론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성 심리학에 근거한 인격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한 인격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적 접근의 특징을 밝히고, 한국의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사회인지적 접근이 도덕발달이론이나 전통적인 인격교육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상황과 특질의 상호작용’, ‘도덕적 행위의 자동성’, ‘전문성과 기술의 교육’의 특징을 중심으로, 도덕교육 모델로서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확실히 사회인지적 접근은 도덕적 인지의 개인차 및 도덕적 행위의 자동성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행위 자동성의 도덕적 중립성과 자율성을 고려하여 랩슬리와 나바에츠의 현상주의 비판을 좀 더 온건하게 해석할 것을, 그리고 도덕적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 인지활동과 의식적 인지활동 모두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인격적 특질이 상황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술의 교육이 필요하며, 전문가적 수준으로의 기술교육이 이루어질 때 상황 특수한 특질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하지만 정서와 관련된 사회인지이론과 사회정보처리 연구들을 반영하여, 기술 교육의 내용요소의 타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It's a kind of alternatives for moral functioning which has been argued by Lapsley and Larvarez. They has criticised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as a research of moralized psychology and support to extend the domains of moral psychology as a research of psycholized morality. If Character is the moral dimension of personality, then the explanatory reach of moral psychology must be grounded on, or at least compatible with, well-attested models of personalit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and it's limits. There are three distinctive dimensions of social cognitive approach: interaction of trait and context, automaticity of behavior, moral experts and learning to skilled moral behaviors. Although their approach is appropriate in terms of unconsciousness and automaticity of moral behaviors, more justification and sophistication of their approach is needed because of moral neutrality of automatic behavior and validity of IEE's contents.

도덕교육, 도덕적 정체성, 사회인지, 사회정보처리, 인격교육, 현상주의
moral education, moral identity, social cognitive theory, character education.

  • 1. [학술지] 곽금주 / 1993 / 공격적 영화시청이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발달 / 6 (1)
  • 2. [학술지] 곽금주 / 1991 / 청소년의 반사회성과 사회정보처리과정간의 관계(1):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차이에 대한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발달 / 4 (1)
  • 3. [학술지] 권준모 / 1998 / 사회심리학의 새로운 통로: 사회정보의 자동적 처리 / 한국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12 (1)
  • 4. [학술지] 김혜리 / 2008 / 교도소 수감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마음 읽기 능력 차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2 (4) : 43 ~ 4 kci
  • 5. [학술지] 손경원 / 2005 / 도덕적 동기의 근원으로서의 도덕적 정체성 / 윤리교육연구 (8) : 197 ~ 8 kci
  • 6. [학위논문] 손경원 / 2005 / 도덕적 자율성의 도덕교육적 함의
  • 7. [학술지] 손경원 / 2009 / 청소년 일탈행동 예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 / 윤리교육연구 (19) : 169 ~ 19 kci
  • 8. [학술지] Bargh, J. A / Beyond behaviorism: On the automaticity of higher mental processes / Psychological Bulletin / 126
  • 9. [학술지] Blasi,A / 1980 / Bridging Moral Cognition and Moral Ac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 Psychological Bulletin / 88
  • 10. [학술지] Cervon,D / 2005 / Personality architecture: Within-person structures and personality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56
  • 11. [단행본] Cervone, D / 1999 / Social-cognitive theories and the coherence of personality in The coherence of personality: social-cognitive bases of consistency, variability and organization / Guilford
  • 12. [학술지] Dodge,K.A / 1986 /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 Minnesota Symposium in Child Psychology / 18
  • 13. [단행본] Greenberg, M. T / 1993 /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deaf children: The PATHS project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 14. [학술지] Hart, D / 2005 / The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 Nevraska Symoposium on Motivation / 51
  • 15. [단행본] Kendall,P.C / 1985 /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mpulsive children / Guilford Press
  • 16. [학술지] Kochnska,G / 2002 / Commited compliance, moral self, and internalization: A mediational model / Development Psychology / 38
  • 17. [단행본] Kohlberg, L / 1984 / The Relationship of Moral Judgement to Moral Action in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 Wiley
  • 18. [학술지] Lapsley, D. K / 2008 / On dual processing and heuristic approaches to moral cognition / Journal of Moral Education / 37 (3)
  • 19. [단행본] Lapsley, D. K / 2008 /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 인간사랑
  • 20. [단행본] Lapsley, D. K / 2006 / Character education in Handbook of Psychology, vol.4 / Wiley
  • 21. [단행본] Lapsley, D. K / 2008 /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 인간사랑
  • 22. [단행본] Lapsley, D. K / 2004 /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the moral personality In Moral Development, Self, and Identity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23. [단행본] Lapsley,D.K / 2008 / Moral self-identity as the aim of education in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 Routledge
  • 24. [단행본] McKinnon, C / 2008 /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 인간사랑
  • 25. [학술지] Narvaez, D / 2006 / Moral Chronicit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ests of a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the moral personality /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 40
  • 26. [단행본] Nucci,L / 2004 / Reflections on the Moral Self Construct in Moral Development, Self, and Identity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27. [단행본] Pervin, L. A / 2003 / 성격심리학 / 박학사
  • 28. [학술지] Robert,R.C / 1984 / Will power and virtues / The Philosophical Review / XCIII (2)
  • 29. [단행본] The consortium on the school-based promotion of social competence / 1994 / The school-based promotion of social competence: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in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ocesses, mechanism, and intervention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30. [학술지] Walker, L. J / 2004 / Differing conceptions of moral exemplarity: Just, brave, and caring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86
  • 31. [기타] / 2009 / 중앙일보 20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