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서사적 자아 개념과 그 여성주의적 함축: 성폭력 트라우마의 극복과 관련하여

The Concept of Narrative-Self and its Feministic Implications for Surviving Sexual Assault Trauma

한국여성철학
약어 : -
2015 vol.24, pp.81 - 112
DOI : 10.17316/kfp.24..201511.81
발행기관 : 한국여성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여성철학회
130 회 열람

서사적 자아론은 구체적인 삶의 지평에서 주체로 등장하는 자아의 모습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격동일성 이론과 차별적이다. 서사적 자아론에서 자아는 자신의 삶에 대해, 삶을 구성하는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로 상정된다. 이 자아는 사건에 등장하는 행위와 사회적 실천의 주체이고, 자신이 경험하고 목격한 사건들을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지평에 배열하여 의미망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통합적인 자아 이미지를 구축한다. 서사적 자아론에서는 수적 동일성의 판별 기준이 아니라 한 사람이 어떻게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통합적인 자기이해를 형성해내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관건이다.이 글에서 필자는 (i) 서사적 자아의 개념을 서사의 주체로서의 자아, 해석학적 자아, 타자성을 전제로 하는 자아라는 세 가지 양상에서 규명하고, (ii) 서사적 자아 개념을 성폭력과 같은 트라우마적 사건의 피해자가 행하는 자기서사의 사례를 들어 살펴봄으로써 그 여성주의적 함축을 드러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iii) 서사적 자아론의 보완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특히 (iii)과 관련하여 필자는 원칙적으로 모든 자기서사는 정당한 자기서사임을 주장할 것이고, 서사적 자아론에서 사건의 의미는 사건 자체의 개별적 수준에서만이 아니라 상위의 사회적, 집단적, 유적 지평의 중층적 구조에서 확보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Narrative-self theory i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personal identity theories. It differs from those theories in that self is supposed as subject in particular horizon of life, and as narrator speaking her own life and events she suffered. Self is the subject of actions constituting events and of social practices. She positions events experienced or observed by herself in the horizon of time of the past-present-future and therefrom acquires meaning of the events and also integral self-image. Critical is not here the criterion of the one-and-same personal identity relation but how a person narrates events occurring to herself and so constitutes her own integral self-understanding. In this paper, first, I examine the concept of narrative-self in three aspects, ie., self as narrative subject, self as hermeneutic subject, and self as relational subject. Second, I try to show the feministic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narrative-self in the case of victim of traumatic accident such as sexual assault. Third, I make two proposals to complement the narrative-self theory. I try to show that every self-narrative is legitimate in principle and that meaning of an event in a self-narrative is not only secured in the level of the particular event but also in the upper levels of social, collective or generic horizon of the event.

서사, 자아, 여성주의, 트라우마, PTSD
Narrative, Self, Feminism, Trauma, PTSD

  • 1. [학술지] 김광일 / 2001 / 가정폭력 피해자 후유증 및 특징 : 배우자 폭력 희생자 및 가해자의 심리 / 한국성폭력상담소 (1)
  • 2. [학술지] 김수진 / 2013 /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 / 여성학논집 / 30 (1) : 35 ~ 1 kci
  • 3. [학술지] 김애령 / 2012 / 다른 목소리 듣기: 말하는 주체와 들리지 않는 이방성 / 한국여성철학 / 17 : 35 ~ kci
  • 4. [학술지] 박찬부 / 2010 / 기억과 서사 : 트라우마의 정치학 / 영미어문학 (95) : 101 ~ 95 kci
  • 5. [학술지] 신선영 / 2012 /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 인간이해 / 33 (2) : 217 ~ 2 kci
  • 6. [학술지] 안현의 / 2013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인지-기억 체계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5 (1) : 111 ~ 1 kci
  • 7. [학술지] 최남희 / 2010 /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 피해자학연구 / 18 (1) : 285 ~ 1 kci
  • 8. [단행본] 정병훈 / 2014 / 인간지성론1 / 한길사
  • 9. [단행본] 토마스 네이글 / 1983 / 사회윤리의 제문제 / 서광사
  • 10. [단행본] 토마스 리드 / 2014 / 인간마음에 관한 탐구 / 한길사
  • 11. [단행본] 폴 리꾀르 / 2003 /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 서광사
  • 12. [단행본] 한나 아렌트 / 1996 / 인간의 조건 / 한길사
  • 13. [학술지] Brande, S. / 1993 / The Public Harm of Private Violence: Rape, Sex Discrimination and Citizenship / Harvard Civil Rights-Civil Liberties Law Review (Winter)
  • 14. [학술지] Brison, S. / 2002 / Violence and the Remaking of a Self / The Chronicle Review,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 15. [단행본] Brison, S. / 2003 / Aftermath: violence and the Remaking of a self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6. [단행본] Hume, D. / 1978 / A Treatise of Human Nature / Oxford University Press
  • 17. [단행본] Levinas, E. / 1969 / Totality and Infinity / Duquesne University Press
  • 18. [단행본] Ricoeru, P. / 1992 / Oneself As Another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 [단행본] Rousseau, J. J. / 2010 / The confessions / Create 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 20. [단행본] Schechtman, M. / 2007 / The Constitution of Selves / Cornell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