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전통적인 타방정토설과 대비할 수 있는 세친의 유심정토관을 살펴보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유심정토관은 정토를 타처에서 찾기 보다는 일심 안에서 찾고자 한 것으로서 정토와 유식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가능케 한다.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세친의 불국정토의 성립근거와 건립 원리를 살펴보면, 타방정토설을 보이는 『무량수경』이 법장보살의 願行이라고 하는 因의 청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세친은 극락정토라는 果의 청정에 비중을 두고 있는 점에서 그 스스로 유식불교적 소견을 보인 것이다. 세친이 자신의 『정토론』에서 29종의 정토 장엄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이러한 정토가 미망으로 오염된 중생을 구제하고자 건립된 것이라 할 때, 세친의 정토 장엄의 성취는 보살도의 완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29종의 장엄은 그 보살도의 완성, 10地의 완성인 대승의 깨달음 즉 네 가지 지혜의 구체적인 나타남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해서 유식불교의 전의에 의해 얻어진 네 가지 지혜(四智)와 『정토론』의 29종의 정토 장엄간의 관련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상의 검토 결과 세친의 정토장엄은 보살도의 완성, 깨달음의 성취라는 유심정토의 내용을 분명히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키워드

세친, 정토, 보살도, 정토장엄, 사지

참고문헌(20)open

  1. [기타] / T. 대정장: 大正新脩大藏經

  2. [단행본] 菩提流支 /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 In 대정장 26권

  3. [단행본] 曇鸞註 /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 In 대정장 40권

  4. [단행본] 玄奘 / 成唯識論, In 대정장 31권

  5. [단행본] 玄奘 / 攝大乘論釋, In 대정장 31권

  6. [단행본] 菩提流支 / 十地經論, In 대정장 26권

  7. [단행본] 山口益 / 1976 / 大乘としての淨土 / 理想社刊

  8. [단행본] 竹村牧南 / 1985 / 유식의 구조 / 민족사

  9. [단행본] 橫山紘一 / 1979 / 唯識の哲學 / 경서원

  10. [단행본] 이태원 / 2003 / 왕생론주 강설 / 운주사

  11. [단행본] 정태혁 / 2001 / 극락세계 가고 싶어라 / 동산법문

  12. [단행본] 장휘옥 / 1996 / 정토불교의 세계 / 불교시대사

  13. [단행본] 서광 / 2003 / 유식 30송 / 불광출판사

  14. [학술지] 강동균 / 2002 / 정토신행의 방법론 / 정토학연구 5

  15. [학술지] 강동균 / 2009 / 무량수경에 있어서 보리심의 전개 / 중승대학원 연구논문집 2

  16. [학술지] 이법수 / 2001 / 世親과 義寂의 阿彌陀佛身佛土論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정토학 연구 4

  17. [학술지] 허성렬 / 1978 / 정토론 연구 / 석림 12

  18. [학술지] 한태식 / 2008 / 정토교의 수행방법론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11 : 53 ~ 98

  19. [학술지] 이봉순 / 2006 / 解深密經의 보살사상 / 불교학연구 (15) : 271 ~ 301

  20. [학술지] 長谷岡一也 / 1958 / 世親淨土論に 於ける十地經的 要素 / 인불연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