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후기 일군의 학자들은 도가철학을 인식의 틀로 활용하여 서양과학을 수용하고 이해하였다. 사실 도가의 기철학은 동양의 전통 과학과 천문학이 형성ㆍ발전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원류로 기능하여 왔으며, 서양과학 수용과정에서 서양과학에 상응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대표적으로 조선후기 이익의 우주론과 서명응의 선천역학, 홍대용의 과학적 세계관은 도가의 기철학을 인식 기반으로 자연 세계에 대한 인식 전환을 시도한 사례들이다. 그리고 자연에 대한 이들의 인식 전환은 현실질서의 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다. 특히 성리학적 도덕원리와 도가의 기철학이 절충된 형태인 이익의 우주론에서 서양의 천문과학은 기철학의 주요 개념에 대응하여 설명되어졌다. 이와 같은 이익의 우주론은 과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의 측면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그는 중화의 위상을 보편적인 것으로 인정하면서도, 조선의 상대주의적 주체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정치에서는 객관적 황로정치의 도입을 주장하는 법치주의적 정치사상을 논의하였다. 도가철학은 서양과학을 이해하는 해석의 틀로서만 기능한 것이 아니라 실학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도가 기철학은 탈이념적이고 실증적인 사유에, 인식 상대주의는 탈중화주의와 주체성의 자각에 기여하였다. 홍대용과 북학파의 실학은 이러한 도가철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이다.

키워드

조선후기, 서양과학, 도가철학, 천문학, 우주론, 이익, 실학, 중화주의, 황로정치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老子

  2. [기타] / 莊子

  3. [기타] / 淮南子

  4. [기타] / 楚辭

  5. [기타] 朴趾源 / 熱河日記

  6. [기타] 徐命膺 / 道德指歸

  7. [기타] 徐瀅修 / 明臯全集

  8. [기타] 吳熙常 / 老洲集

  9. [기타] 李圭景 / 五洲衍文長箋散稿

  10. [기타] 李睟光 / 芝峯類說

  11. [기타] 李瀷 / 星湖僿說

  12. [기타] 張維 / 谿谷集

  13. [기타] 鄭斗卿 / 東溟集

  14. [기타] 崔漢綺 / 人政

  15. [기타] 洪大容 / 湛軒書 / 醫山問答

  16. [기타] / 승정원일기

  17. [학술지] 김영식 / 2006 / 조선 후기의 지전설 재검토 / 동방학지 (133) : 79 ~ 114

  18. [단행본] 박성순 / 2005 / 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 고즈윈

  19. [단행본] 신병주 / 2007 / 조선 중‧후기 지성사 연구 / 새문사

  20. [학술지] 이봉호 / 2005 / 保晩齋 徐命膺의 先天學 體系와《老子》이해 / 도교문화연구 (22) : 134 ~ 163

  21. [학술지] 이진경 / 2014 / 영정조 시대 정치와 사상에서 도가사상의 수용과 영향 Ⅰ - 노론과 북학파의 체제 논리와 중화주의를 중심으로 - / 철학논총 76 (2) : 97 ~ 132

  22. [학술지] 최영성 / 1999 / 성호 이익의 역사인식 / 한국철학논집 7‧8

  23. [단행본] 성호준 / 2008 / 한국실학사상사 / 심산

  24. [단행본] / 2009 / 한국유학사상대계 7-과학기술사상편 / 한국국학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