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행복과 괴롭힘 친화도의 관계에서인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The Mediating and Modulating Effect of Charac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ro-bullying Attitudes

倫理硏究
약어 : -
2017 vol.1, no.115, pp.191 - 225
DOI : 10.15801/je.1.115.201709.191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42 회 열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행복과 괴롭힘 친화도의 관계에서 인성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조사하고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행복 교육은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행복은 물론 인성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성교육 접근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이를 검증할 과학적 연구가 최근에서야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남녀 4~5학년 2809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 인성, 괴롭힘 친화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성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였다. 첫째, 행복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인성 수준이 높고, 괴롭힘 친화도가 낮았다. 둘째, 행복(삶의 만족도, 긍정 감정, 부정 감정) 및 인성은 모두 괴롭힘 친화도와 부적 인과관계이며 인성의 인과적 영향력이 가장 크고, 부정 감정, 삶의 만족도, 긍정 감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은 행복(삶의 만족도, 부정 감정)과 괴롭힘 친화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넷째, 행복과 괴롭힘 친화도의 관계에서 인성의 조절 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가 학교 폭력 예방에 기여 할 수 있는 인성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교육은 학교 폭력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었지만 긍정 감정의 낮은 영향력을 고려할 때 부정 감정을 상쇄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긍정 경험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행복 교육이 핵심 덕과 역량을 기르는 인성 교육과 연계될 때 학교 폭력 예방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집단 괴롭힘과 같은 학교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성을 이루는 핵심 덕을 고르게 성장 발달시키려는 교육적 노력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ro-bullying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is widely accepted in character education because it is a happy school without school violence or character education. School violence, focusing on depression or aggression is less effective in preventing bullying than positive interventions that focus on the positive side of the victim wich is a new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bring up the skills and competence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diating effect and adjustment effect of Baron and Kenny regression on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personality scale, pro-bullying attitudes scale,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suggestions character education were discussed along with further research.

행복, 인성, 매개 효과, 조절 효과, 학교폭력, 괴롭힘 친화도
Happiness, character, mediating effect, control effect, school violence, pro-bullying attitudes

  • 1. [단행본] 문용린 / 2014 / 행복교육 / 리더스북
  • 2. [단행본] Fredrickson, B. / 2009 / Positivity: Top-Notch Research Reveals the 3 to 1 Ratio ThatWill Change Your Life / Three rivers press
  • 3. [단행본] Olweus, D. / 1993 /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 Blackwell Publishing
  • 4. [단행본] 프레드릭슨, B. / 2009 / 긍정의 발견 / 21세기 북스
  • 5. [학술지] 김광수 / 2013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의 방향과 과제 / 한국초등교육 / 24 (1) : 1 ~ 1 kci
  • 6. [학술지] 박연복 / 2011 /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과 타당성 연구 / 교육평가연구 / 24 (3) : 645 ~ 3 kci
  • 7. [학술지] 박종효 / 2005 /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에 대한 이해: 선행요인 탐색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18 (1) : 19 ~ 1 kci
  • 8. [학술지] 서미정 / 2008 /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 아동학회지 / 29 (5) : 79 ~ 5 kci
  • 9. [학술지] 서미정 / 2015 / 아동 후기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의 안정성 및 변화와 환경적 특성과의 관계:주변또래의 역할을 중심으로 / 아동학회지 / 36 (4) : 17 ~ 4 kci
  • 10. [학술지] 서은국 / 2011 /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1) : 95 ~ 1 kci
  • 11. [학술지] 손경원 / 2016 / 인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 윤리교육연구 (39) : 97 ~ 39 kci
  • 12. [학술지] 손경원 / 2016 /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인성 특성과 또래 괴롭힘 친화성의 영향 변인 연구 / 초등도덕교육 (51) : 117 ~ 51 kci
  • 13. [학술지] 심희옥 / 2005 / 또래 괴롭힘과 대인간 행동특성에 관한 횡단 및 단기종단연구:참여자 역할을 중심으로 / 아동학회지 / 26 (5) : 263 ~ 5 kci
  • 14. [학술지] 심희옥 / 2002 / 또래와의 갈등 대처양식과 또래 괴롭힘의 가해, 피해, 친사회적 행동과의 횡, 종단적인 관계 / 아동학회지 / 18 (1)
  • 15. [학술지] 장승희 / 2015 /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 / 윤리교육연구 (37) : 75 ~ 37 kci
  • 16. [학술지] 한미영 / 2016 / 학교급에 따른 인성 수준 차이의 원인 탐색:행복과 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 / 43 (1) : 73 ~ 1 kci
  • 17. [학술지] Baron, R / 1986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1 (6)
  • 18. [학술지] Bryant, B. / 1983 / Context of Success, Affective Arousal, and Generosity: The Neglected Role of Negative Affect in Success Experience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20
  • 19. [학술지] Diener, E. / 1984 / Subjective well-being / Psychological Bulletin / 95 (3)
  • 20. [학술지] Gillham, J / 2011 / Character strengths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during adolescence /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6 (1)
  • 21. [학술지] Magyar, J. L / 2015 /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 Counseling: What Every Counseling Psychologist Should Know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43 (4)
  • 22. [학술지] Park, C / 2004 /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 Journal of Social & Clinical Psychology / 23
  • 23. [학술지] Peterson, C. / 2004 /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 Journal of Social & Clinical Psychology / 23 (5)
  • 24. [학술지] Rashid, T. / 2015 / Positive psychotherapy: A strength-based approach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10 (1)
  • 25. [학술지] Richards, M. / 2011 / Do positive children become positive adult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birth cohort study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6 (1)
  • 26. [학술지] Saimivalli, C / 1996 /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 Aggressive Behavior / 22 (1)
  • 27. [학술지] Saimivalli, C / 1998 / Stability and change of behavior in connection with bullying in schools: A two-year follow-up / Aggressive Behavior / 24 (3)
  • 28. [학술지] Sutton, J / 1999 / Bullying as a group process: An adaptation of a participant role approach / Aggressive Behavior / 25 (2)
  • 29. [학술지] Tani,F. / 2003 / Bullying and the Big Five /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 24 (2)
  • 30. [학술지] Waugh, C. / 2006 / Nice to know you: Positive emotions, self-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relationship /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 1
  • 31. [보고서] 김기헌 / 2010 /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Ⅲ
  • 32. [보고서] 김재춘 / 2012 /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 33. [보고서] 이강주 / 2013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3)
  • 34. [보고서] 이명준 / 2011 /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 35. [보고서] 이인재 / 2014 / 현대 한국 청소년 윤리의식 조사
  • 36. [보고서] 천세영 / 2012 /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천 방안 연구
  • 37. [보고서] 현주 / 2014 / 초중등 학생 인성 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 38. [인터넷자료] 강지원 / 인성교육은 행복 교육입니다 / 책과 삶 독서신문
  • 39. [인터넷자료] 교육부 / 2학기 학교폭력 예방교육 어떻게 달라지나
  • 40. [인터넷자료] / 소벨 테스트
  • 41. [인터넷자료] 현주 / 인성교육활성화방안 / 교육정책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