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家禮』 註釋書를 통해 본 朝鮮 禮學의 進展過程

The Progress of Commentaries for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in Chosun Dynasty

동양철학
약어 : -
2010 no.34, pp.239 - 269
DOI : 10.19065/japk..34.201012.239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121 회 열람

東儒들의 『朱子家禮』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6세기 후반부터 이루어진다. 이는 세 가지 動因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주자가례』라는 서적의 보급과 확산이다. 둘째는 『의례경전통해』의 수입과 보급이다. 세째는 1518년 도입되어 中宗대에 간행된 『家禮儀節』의 流通이다. 이는 조선에서 『주자가례』에 대한 연구가 그 시작에서부터 ‘古禮의 정신에 따른 보완’이라는 문제의식에 의해 강하게 추동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동유들의 대응은 『家禮儀節』의 ‘요리법’을 따라 ‘行禮’와 ‘考證’ 그리고 ‘變禮’의 방향으로 자리잡는다. 15세기에는 『經國大典』과 『國朝五禮儀』 등 國家典禮를 정초하기 위해 힘을 쏟는 한편으로, 민간의례의 측면에서 혼례와 상례 그리고 제례에 관한 국가 공인의 ‘行禮 매뉴얼’이 마련된다. 16세기에는 『주자가례』에 기반한 喪祭禮와 관련된 간편한 ‘行禮’ 지침서들과 행례의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變禮’의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토론한 문답서류들이 등장한다. 아울러 『주자가례』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그것의 연원을 탐구한 ‘훈고와 고증’에 관련된 주석서가 나타난다. 17세기에는 초보적인 喪-祭禮 지침서는 사라지고 체재와 내용면에서 충실한 지침서들이 나타나고, 諺解書가 등장하며, 疑禮에 대한 관심이 독자적인 禮書로까지 정리된다. 이는 『주자가례』의 시행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징표들이다. 18세기에는 ‘행례’와 ‘고증’ 그리고 ‘변례’의 측면에서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각각 이전의 연구를 집대성한 성격의 저술이 등장한다. 이러한 작업은 모두 1740년부터 1780년에 이르는 기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어지는 19세기는 이들 작품을 보완하거나 절요본을 통해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된다. 이는 東儒들의 家禮 연구는 17세기가 아니라, 18세기 후반기에 그 절정에 도달하여 만개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Full-fledged research on Zhu Xi's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by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take place beginn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There are seemingly two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The first is the dissemination and wide-spread availability of the work,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The second is the circulation of the Guide to Practising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which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1518 and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chong. The propag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Guide to Practising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serve to make aware the need for evidential research in remedying theoretical shortcomings in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s well as the need for procedural guidelines for facilitat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levant rituals among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various concise guidebooks concern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unerary and ancestral ritual appear on the scene. In the process, certain question-and answer booklets dealing with questions on problematic subjects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rituals also come to the fore. The question-and answer booklets are compositive in that they not only contain specific guidelines for the enactment of ritual, but also explanations of and evidential research on the original text itself.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proto-commentaries on the text that first appear in the early part of the century develop into full-blown commentaries with professional content and structure. On a more limited scale, works that deal with overall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ritual can also be seen. Studies of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in the 17th century take on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1) amateurish and rudimentary guides to funerary and ancestral ritual give way to solid, substantial guides that are equipped with the necessary content and organization, 2) Korean language annotations to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ppear on the scene, and 3) interest in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leads to independent works on ritual. This points to the widespread practice of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at the time, and also signifies that the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ritual was being carried over to a deepened scholarly research into the Family Ritual itself. The 18th century is noted for independent works on ritual, the content of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scholars' interest in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interpretation of proper ritual and in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itual in cases necessitated by expediency had left the restrictive setting of the question-and-answer format. This signifies that issues which arose in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amily Ritual came to be settled while undergoing academic review. In that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ritual in cases necessitated by expediency came to be included in the actual text of the works on ritual, studies on the Family Ritual of the period can be seen as entering a certain "Koreanized" phase of completion.

行禮, 變禮, 考證, 朱子家禮, 家禮儀節, 儀禮經傳通解
『朱子家禮 Zhu Xi's Family Ritual』, 『家禮儀節 Guide to Practising the Family Ritual』, 『家禮諺解 Korean language annotations to the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 1. [학위논문] 최경훈 / 2008 / 조선시대 간행의 주자 저술과 주석서의 편찬
  • 2. [단행본] 퓌스텔 드 콜랑주 / 2005 / 고대도시 / 아카넷
  • 3. [단행본] 고영진 / 1996 / 조선중기예학사상사 / 한길사
  • 4. [학위논문] 장연경 / 1983 / 규장각 한국본 예서 연구
  • 5. [학술지] 권진호 / 2010 / 영남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 동암東巖 류장원柳長源의 『상변통고常變通攷』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 (16) : 469 ~ 16 kci
  • 6. [단행본] 김언종 / 1999 / 학봉선생의 예학 in: 퇴계문하 6철의 삶과 사상 / 예문서원
  • 7. [학술지] 김항수 / 2002 / 16세기의 性理學 倫理와 禮書 / 한국의 청소년문화 / 2
  • 8. [학술지] 도현철 / 1993 / 고려후기 주자학 수용과 주자서 보급 / 동방학지 / 77
  • 9. [학술지] 송희준 / 2000 / 18세기 永川 지역의 󰡔家禮󰡕註釋書에 대하여 / 한국의 철학 / 28
  • 10. [학술지] 유영옥 / 2005 / 鶴峯 金誠一의 祭禮 意識과 行禮 / 퇴계학과 유교문화 (37) : 143 ~ 37 kci
  • 11. [학술지] 이봉규 / 1998 / 김장생ㆍ김집의 예학과 원종추숭논쟁의 철학사적 의미 / 한국사상사학 / 11
  • 12. [학술지] 이원택 / 2008 / 17세기 복제예송이 18세기 복제 예론에 미친 영향 - 예론의 지역적 분립과 학파 내의 분화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 (13) : 59 ~ 13 kci
  • 13. [단행본] 이현진 / 2005 / 국조상례보편의 편찬과 의의 in: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ㆍ해설집 / 서울대학교 규장각
  • 14. [단행본] 이현진 / 2005 / 국조오례의와 속오례의의 편찬과 의의 in: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ㆍ해설집 / 서울대학교 규장각
  • 15. [학술지] 정옥자 / 1990 / 17세기 전반 禮書의 성립과정-金長生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 / 11
  • 16. [학술지] 한기범 / 2001 / 사계예학파의 예학사상 / 유교사상연구 / 15
  • 17. [학술지] 황영환 / 1994 / 한국 가례서의 발전계통에 관한 서지적 연구 / 서지학연구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