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효’의 관념은 동아시아 세계에 매우 친숙하다. 그것은 동아시아인들의 내재적 심층의식으로 자리잡고 내면적 도덕의 한 축을 이루고 외재적 규범의 주요 요소를 만들었다. 이러한 까닭에 ‘효’에 대한 개념적 이해는 ‘실천’이라는 매개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효 실천’은 그 역사적 전개 안에서 때로는 형식주의로 빠지거나, 혹은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오용되었다. 그러한 부정적 영향은 오늘날까지 그 흔적을 한국사회 곳곳에 남겨 놓고 있다. 특히 독재정치 권력에 부재했던 혹은 미비한 정당성 창출을 위해 ‘효 실천’을 악용했던 사례는 효 그 자체의 사회적 기능과 효과를 지극히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런 이유로 해서 오늘날 현대인의 효 규범의식의 변화에 맞추어 ‘효 실천’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결과의 하나로 현재의 ‘효 실천’ 개념은 후기현대의 가족구조 변동에 적응치 못하는 사회의 구조적 지체 현상의 한 원인으로 의심받게 되었다. 물론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담론은 전통의 덕목들이 ‘어떻게 현대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열어 놓았지만, 아직도 ‘효 실천’이 현대적 가치, 이념, 규범 등으로 정당화되기에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효 실천’의 현대적 변용의 과제는 무엇보다 먼저 독자적 실천영역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전략의 조건은 최소한의 국가권력을 통해 전통으로부터의 ‘효 실천’을 오늘에 매개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해석의 보장이 전제되어야 한다.

키워드

효, 효 실천, 효 실천의 이데올로기화, 가족주의, 노인복지, 효의 현대적 변용

참고문헌(38)open

  1. [단행본] 성백효 / 2005 / 論語集註 / 전통문화연구회

  2. [단행본] 정태현 / 1996 / 孝經大義 / 전통문화연구회

  3. [단행본] 가지노, 부유끼(加地伸行) / 1996 / 유교란 무엇인가 / 지영사

  4. [학술지] 김상준 / 2001 / 조선시대의 禮訟과 모랄폴리틱 / 한국사회학 35 : 205 ~ 236

  5. [학술지] 김상준 / 2005 / 예의 기원과 유교적 안티노미 / 사회와 이론 (7) : 49 ~ 92

  6. [단행본] 김재구 / 2000 / 중국전통윤리사 / 세종출판사

  7. [단행본] 김태성 / 2000 / 복지국가론 / 나남(출)

  8. [학술지] 남순현 / 2004 /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2) : 1 ~ 15

  9. [단행본] 노태구 / 2006 / 정조대왕 효사상의 현대적 조명(효사상과 평화통일학, 민족사상연구 제14집) / 경기대학교 부설 민족사상연구소 : 1 ~ 36

  10. [단행본] 만소로프, A / 2000 / 북한의 핵 프로그램 / 사군자(출)

  11. [학술지] 문병도 / 2000 / 전통적 유교와 다원성의 억압 / 중국학보 48 : 559 ~ 578

  12. [단행본] 문제곤 / 1999 / 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역사 속의 중국철학) / 예문서원

  13. [단행본] 모선희 / 2006 / 현대노인복지론 / 학지사

  14. [단행본] 민중교육편집위원회 / 1985 / 민중교육 / 실천문학사

  15. [단행본] 박광준 / 2004 /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국제 비교적 관점 / 현학사

  16. [단행본] 박경숙 / 2003 / 고령화 시대 - 이미 진행된 미래 / 의암

  17. [학술지] 백승기 / 1979 / 효사상과 국민총화 / 국민윤리연구 8 : 265

  18. [학술대회] 송영배 / 1999 / 세계화 시대의 유교적 윤리관의 의미(새로운 21세기와 유교의 禮) / 국제학술대회보 : 75 ~ 103

  19. [단행본] 신은희 / 2006 / 정조의 孝사상과 주체사상과의 대화(효사상과 평화통일학, 민족사상연구 제14집) / 경기대학교 부설 민족사상연구소 : 137 ~ 166

  20. [단행본] 신정근 / 2004 / 동중서(董仲舒): 중화주의의 개막 / 태학사

  21. [학술지] 안혜숙 / 2005 / 도시 기혼남녀의 전통적 효 규범의식과 친척 유대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한가정학회지 43 (5) : 183 ~ 198

  22. [학술지] 유석춘 / 2005 / 유교윤리와 자본주의 정신-효(孝)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39 : 52 ~ 66

  23. [단행본] 이승환 / 1999 / 정치와 윤리의 일체화, 그 동양적 전통의 출발점(역사 속의 중국철학) / 예문서원 : 15 ~ 36

  24. [단행본] 이승환 / 2000 / 아시아적 가치의 담론분석(유교민주주의, 왜 & 어떻게) / 전통과 현대 : 31 ~ 64

  25. [단행본] 이승환 / 2004 / 유교 담론의 지형학 / 푸른숲

  26. [단행본] 林安弘 / 2002 / 유가의 효도사상 / 에디터

  27. [단행본] 정세구 / 1985 / 국민정신교육의 과제 / 교육과학사

  28. [단행본] 정재욱 / 2006 / 일본 사회복지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대왕사

  29. [단행본] 趙吉惠 / 1997 / 중국유학사 I / 신원문화사

  30. [단행본] 진덕규 / 2002 / 한국정치의 역사적 기원 / 지식산업사

  31. [단행본] 하우크, W. F / 1995 / 이데올로기 이론 개요(상품미학과 문화이론) / 눈빛 : 159 ~ 194

  32. [단행본] 한기언 / 1975 / 효도와 교육(현대와 효도) / 을유문화사

  33. [학술지] 한공우 / 1983 /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생활화 방안 / 국민정신연구 83 (8) : 191 ~ 310

  34. [단행본] 함재봉 / 2000 / 유교, 자본주의, 민주주의 / 전통과 현대

  35. [단행본] Habermas, J / 1973 / Erkenntnis und Interesse / Frankfurt am Main

  36. [단행본] Habermas, J / 1981 / Die Moderne ein unvollendetes Projekt(Kleine politische Schriften I-IV) / Frankfurt am Main

  37. [단행본] Habermas, J / 1985 / Die Neue Unübersichtlichkeit / Frankfurt am Main

  38. [단행본] Wellmer, A / 1979 / Praktische Philosophie und Theorie der Gesellschaft(Normen und Geschichte) / Paderb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