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영유권리 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59명의 서울 및 경기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였다. 연구도구로 조필수(2007)의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김진숙(2009)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은 영·유아에 대한 윤리, 영·유아 가정에 대한 윤리, 동료 및 기관에 대한 윤리, 사회에 대한 윤리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해, 영·유아권리존중은 일상적 양육 존중, 보육활동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대해 측정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영·유아권리 존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따라 영·유아권리 존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보육교사, 교직윤리, 영·유아권리존중

참고문헌(19)open

  1. [학술지] 김은설 / 2011 / 보육교사의 도덕성과 윤리 실천 수준의 관계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15 (3) : 207 ~ 226

  2. [학위논문] 김진숙 / 2009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3. [학위논문] 박수진 / 2009 /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 인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4. [학술지] 박은주 / 2009 / 돌봄의 관점에서 살펴본 보육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 유아교육학논집 13 (5) : 45 ~ 74

  5. [단행본] 박은혜 / 2009 / 유아교사론 / 창지사

  6. [학위논문] 배문주 / 2011 /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7. [학위논문] 윤매자 / 2010 /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관한 자율장학의 효과와 의미

  8. [학술지] 이숙희 / 2005 / 보육교사에 대한 시설장의 신뢰성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 (1) : 57 ~ 76

  9. [학술지] 임승렬 / 2002 / 보육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 한국교원연구 19 (1)

  10. [학술지] 이진화 / 2007 / 교수-학습의 실제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가로서의 교사 도덕성 / 아동교육 16 (1) : 89 ~ 102

  11. [학위논문] 조경옥 / 2001 / 유아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12. [학위논문] 조필수 / 2007 / 보육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교사교육프로그램 및 윤리강령제정을 위한 기초

  13. [학술지] 조형숙 / 2008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 (1) : 301 ~ 326

  14. [학술지] 조형숙 / 2009 /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 유아교육학논집 13 (2) : 243 ~ 276

  15. [학술지] Dodge, D. T / 1995 /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achieving quality child daycare programs / Journal of Child Welfare 74

  16. [학술지] Huso, J / 2001 / Teachers' ethical choices in socio-moral settings / Journal of Moral Education 30 (4)

  17. [단행본] Katz, L. G / 1981 / Mothering and Teaching: Some significant distinctions, In Ferguson Lecture in Education /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18. [학술지] Tirri, K / 1999 / Teachers' perceptions of moral dilemmas at school /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 (1)

  19. [학위논문] Huerta-Dharles, L. M / 2003 / Managing moral dilemmas in a head start classroom: exploring teachers' moral thought processes: a qualitativ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