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한국 사회에서도 이전과 달리 원전 위험 인식이 확실히 증가하고 있다. 여론 조사에 의하면 원전 필요성 인식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원전 위험 인식은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유사한 원전 사고였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에는 한국 사회는 원전 위험을 둘러싼 논쟁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사고에 대한 보도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정부의 위험 관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낮았다. 시민단체들에 의한 반핵 운동이 아직 출현하지 않으면서 원전 위험에 대한 사회적 증폭 현상이 제한적이었던 것이다. 이에 비해 후쿠시마 사고는 언론을 통한 보도의 양 자체가 증가하였고 핵폐기장 반대 운동 과정을 통해 학습을 한 시민 단체들이 늘어나면서 정부의 위험 관리 능력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런 여러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한국 사회의 원전 위험 인식은 강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위험의 사회적 구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원전, 위험, 위험 인식, 사회적 구성, 후쿠시마 원전 사고

참고문헌(26)open

  1. [학술지] 강윤재 / 2012 / 원전사고와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의 정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 공학교육연구 15 (1) : 35 ~ 44

  2. [학술지] 강종권 / 1988 /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원인과 교훈 / 한국산업안전학회지 3 (1) : 47 ~ 54

  3. [학술지] 김혜정 / 2012 / 후쿠시마 이후의 한국 반핵운동과 시민사회의 역할 / 시민과 세계 (19) : 136 ~ 150

  4. [단행본] 노진철 / 2005 / 생태위험과 정보기술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학술지] 박진희 / 2012 / 독일 탈핵 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 역사비평 : 35 ~ 44

  6. [학술지] 박희제 / 2004 /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 ECO (6) : 8 ~ 38

  7. [기타] 변재일 / 2011 / 일본원전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 최대 반대여론 세계최고 수준 / 국정감사보도자료

  8. [인터넷자료] 이재기 / 체르노빌 원전사고 10년의 회고

  9. [학술지] 이진로 / 2011 /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사회적 소통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 : 188 ~ 213

  10. [학술지] 장후석 / 2012 / 원자력 에너지 안정성에 대한 대국민 조사 /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Report 12-04 (505)

  11. [학술대회] 정주용 / 2011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변화 / 한국정책학회 축학술대회 발표집 : 157 ~ 177

  12. [학술지] 주성돈 / 2011 / 원자력발전정책의 변동과정 연구: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 (3) : 153 ~ 182

  13. [학술지] 진상현 / 2012 / 한국과 독일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1 (3) : 265 ~ 290

  14. [학술지] 진상현 / 2012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유형 분석 / 한국행정논집 24 (4) : 1011 ~ 1038

  15. [학술지] 차용진 / 2012 / 원자력위험인식 변화추세 및 정책적 함의:수도권 일반주민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연구 12 (1) : 1 ~ 20

  16. [학술지] 최진식 / 2012 / 직관적 탐지이론을 통한 정부의 위험관리 신뢰요인에 관한 연구: 고리원전사고 위험관리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 정부학연구 18 (3) : 325 ~ 357

  17. [기타] 한국원자력산업협의회 / 2012 / 원자력연감 2012 / 한국원자력산업협의회

  18. [단행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2010 / 밝은 미래를 향한 안전한 약속- 남기고 싶은 이야기 / KINS 20년사

  19. [보고서] 한국원자력학회 후쿠시마위원회 / 2013 / 후쿠시마 원전 사고 분석

  20. [기타] 환경운동연합 / 2011 / 방사능 오염,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해결하라

  21. [보고서] 환경운동연합 / 2012 / 한국 월성, 고리 원전 1호기 사고 피해 모의 실험-일본 SEO code 기법의 한국 원전 적용 두 번째

  22. [단행본] Douglas / 1993 / Risk and Culture, In 환경과위험과 문화 / 명보문화사

  23. [학술지] Goerke, Alexander / 2003 / Public communication between facts and fictions: on the construction of genetic risk / Public Understanding of Sceince 12 : 229 ~ 241

  24. [보고서] IEA / 2012 / Medium-Term Renewable Energy Market Report 2012

  25. [학술지] Linder, Stephen H. / 1995 / Constructing discourses in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controversy: The social construction of EMF risk as a public problem / Policy Sciences 28 : 09 ~ 230

  26. [학술지] Nelkin, Dorothy / 1989 / Communicating Technological Risk: The Social Construction of Risk Perception / Annu, Rev. Public Health (10) : 95 ~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