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김석문이 생존했던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반 조선 학계는 예론 중심주의, 주자 중심주의가 주류를 이룬다. 16세기에는 조선조 대부분의 학자들이 가담했던 사단칠정론과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새롭게 등장한 인물성동이론이 조선 학계의 주된 담론들이었다. 당시의 주자학자들은 자연에 대한 연구보다는 이기심성론이나 예설에 천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김석문의 관심은 자연에 있었으며, 그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그 이후 조선 학계 관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공헌을 했다. 이런 자연의 복권은 김석문의 「易學二十四圖解」에서 잘 드러난다. 김석문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太極圖說」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친다. 김석문은 太極→陰陽→五行→萬物의 도식을 포기하는데, 이로써 태극과 음양, 오행, 만물의 연결고리는 끊겼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양’과 ‘동정’은 재해석되는 과정에서 만물의 변화 법칙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데, 태극이 만물을 관여(또는 주재)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극이라는 우주의 궁극적 근원이 지상의 만물에 관여할 수 있는 통로와 방법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셈이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토대를 구성하고 있던 「太極圖說」은 김석문에 와서 서양의 자연과학적 지식과 충돌을 일으키며 변화를 겪었다. 그런 과정에서 그것이 가지고 있던 만물의 생성론적 원천의 지위는 약화되었고, ‘동정’과 ‘음양’이라는 변화 원리도 효력을 상실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석문은 ‘태극’이 가지고 있던 형이상학적 속성을 완전히 폐기할 수는 없었다. 주희와 마찬가지로 김석문은 여전히 태극을 리로 보고 있다. 김석문은 리의 부동성을 강조하면서 리가 만물을 주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김석문은 조선 후기 자연의 경험주의적 이해의 새로운 서막을 여는 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지만, 완전히 성공했다고 볼 수는 없다.

키워드

김석문, 역학이십사도해, 태극도설, 자연, 경험주의적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1996 / 易學二十四圖總解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 [단행본] 呂不韋 / 1990 / 呂氏春秋校釋 / 學林出版社

  3. [단행본] 十三經注疏整理本委員會 / 2000 / 周易正義 / 북경대학출판사

  4. [단행본] 구만옥 / 2004 /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1 / 혜안

  5. [학술지] 김문용 / 2007 / 조선후기 서학의 영향과 우주론적 시공 관념의 변화 / 시대와 철학 18 (3) : 457 ~ 490

  6. [학술지] 김성환 / 2013 / 김석문의 학문 배경과 『역학도해』의 전승 과정 / 국학연구 (22) : 407 ~ 437

  7. [학술지] 김영식 / 1986 / 전통중국 학자계층의 전문과학 지식에 대한 태도 / 한국과학사학회지 8 (1)

  8. [학술지] 김용헌 / 1995 / 김석문의 우주설과 그 철학적 성격 / 동양철학연구 15

  9. [학술지] 김용헌 / 1995 / 서양 과학에 대한 洪大容의 이해와 그 철학적 기반 / 철학 43

  10. [학술지] 김용헌 / 2000 / 김석문의 과학사상 / 과학사상 33

  11. [학술지] 문중양 / 1999 / 18세기 조선 실학자의 자연지식의 성격: 상수학적 우주론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사학회지 21

  12. [단행본] 문중양 / 2005 / 한국실학사상연구4: 과학기술편 / 혜안

  13. [학술지] 박홍식 / 1999 / 명덕동이논변 / 동양철학연구 20

  14. [학술지] 서영이 / 2014 / 최한기 기학의 은유적 해명 / 철학 (121) : 27 ~ 50

  15. [학술지] 신정근 / 2001 / 홍대용과 경험 중심의 인식론적 리기관의 재생 / 철학사상 13

  16. [학술지] 이상익 / 2004 / 조선후기 明德論爭과 그 의의 / 동양철학연구 39 : 137 ~ 210

  17. [학술지] 이용범 / 1976 / 김석문의 지전론과 그 사상적 배경 / 진단학보 41

  18. [학술지] 이향준 / 2011 / 성리학적 초월의 탄생 -그림자 개념(shadow concept)에 대한 한 논평- / 범한철학 63 (4) : 63 ~ 91

  19. [단행본] 장숙필 / 2003 / 도설로 보는 한국유학 / 예문서원

  20. [학술지] 전용훈 / 1996 / 조선중기 유학자의 천체와 우주에 대한 이해: 여헌 장현광(1554-1637)의 「역학도설」과 「우주설」 / 한국과학사학회지 18 (2)

  21. [학위논문] 전용훈 / 2004 / 조선후기 서양천문학과 전통천문학의 갈등과 융화

  22. [학술지] 정병석 / 2006 / 太極 개념 형성의 淵源的 배경과 해석 : 太極 개념의 原生的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 철학 (88) : 45 ~ 66

  23. [학술지] 황병기 / 2004 / 역학과 서구과학의 만남, 조선후기 사상의 내적 발전사 탐구 / 도교문화연구 (21) : 137 ~ 165

  24. [학술지] 小川晴久 / 1979 / 地轉(動)說에서 宇宙無限論으로: 金錫文과 洪大容의 世界 / 동방학지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