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추구하는 유학은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논리구조를 통하여 도덕적 개인이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이상향을 그린다.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이황은 자신의 교육적 의도와 관심을 반영하고 성리학의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리하여 『성학십도』를 만들었다. 『성학십도』에서 표방하는 교육의 목적은 성인(聖人)이 되는데 있으며, 이는 성찰적이며 실천적인 도덕인이 되고자 하는 도덕교육의 목적과도 궁극적으로 그 궤를 같이 한다. 『성학십도』의 전체 주제는 경(敬)을 기초로 인륜과 도덕의 원리를 밝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과 연관된다. 경(敬)은 또한 수양의 목적이자 방법이며, 주요 내용이다. 전통 유학의 교육 방식은 교육의 목적ㆍ내용ㆍ방법 간의 유기적 통합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지(知)와 행(行)의 병진이라는 일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전통문화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탐구하고, 전통교육의 측면에서 도덕문화를 다시 일으키는 것은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것들이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연원한다는 점을 논의하는 것으로서 오늘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전통교육이 추구했던 도덕교육의 본질을 분석하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신을 실현하고’ ‘공동체를 배려’할 수 있는 인재를 배양하기 위한 반성적 접근은 매우 의미가 있다.

키워드

퇴계 이황, 유학, 도덕, {성학십도}, 성학(聖學), 경(敬) 사상, 인(仁).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 1989 / 한국문집총간, 퇴계선생문집

  2. [단행본] 오정혜 / 2009 / 역주와 해설 성학십도 / 예문서원

  3. [단행본] 윤사순 / 1987 / 성학십도-논사단칠정서 / 을유문화사

  4. [단행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단행본] 한국철학사연구회 / 2003 / 한국철학사상사 / 심산

  6. [단행본] 陳來 / 1997 / 송명성리학 / 예문서원

  7. [학술지] 신창호 / 2018 / 퇴계 {언행록}의 사제관계에서 탐색한 학습법과그 현대적 이해 / 한국철학논집 (56) : 209 ~ 238

  8. [학술지] 嚴連錫 / 2002 / 퇴계의 자연인식과 도덕적 지향 / 퇴계학보 111 : 45 ~ 106

  9. [학술지] 오지환 / 2015 / 퇴계(退溪) 『성학십도』의 도덕철학적 기반 / 동서철학연구 (76) : 135 ~ 165

  10. [학술지] 이상익 / 2004 / 유교의 忠恕論과 自由主義 / 철학 (80) : 5 ~ 30

  11. [학술지] 이치억 / 2015 / 退溪의 마음공부 / 동양철학연구 (81) : 209 ~ 234

  12. [학술지] 이해영 / 1995 / 이황(李滉)의 수양론(修養論)-『성학십도(聖學十圖)』와 경을 중심으로 / 퇴계학 (7)

  13. [학술지] 趙春艶 / 2005 / 退溪 李滉의 文化觀 ­?聖學十圖?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16) : 367 ~ 391

  14. [학술지] 최광만 / 2002 / 『성학십도』의 구조 분석 / 교육사학연구 12

  15. [학술지] 한형조 / 2003 / 퇴계의 ?聖學十圖? : 주자학의 이념과 聖學의 설계도 / 南冥學硏究 16 : 10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