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論語』 經文에 관한 해석의 다양성과 객관성을 찾아본다는 취지하에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서, 그 일곱 번째에 해당된다. 따라서 本考는 『論語』第七에 관하여, (ⅰ)「述而」篇의 체제와 구조적 특징, (ⅱ)諸註釋에 근거한 「述而」篇 경문 해석의 다양성 등을 고찰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論語』의 편집 체제가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인 꼴라쥬와 같다고 評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름대로의 짜임새를 갖추고 있음이 발견된다. 「公冶長」 제5편이 주로 孔子의 弟子들이나 先代의 인물들에 대한 評論이 主를 이루었다면, 「雍也」 제6편은 공자의 弟子와 門人들에 대한 인물별 특징을 전반부 14개의 경문에 배치하였고, 후반부 14개의 경문에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敎訓과 箴言的 성격의 글로 구성해 놓음으로써 그 분량마저 균형을 맞춰놓았음을 알 수 있었다. 「述而」편 역시 예외는 아니다. 앞의 「公也長」과 「雍也」가 주로 타인들에 대한 評述과 斷想이라면, 「述而」는 ‘공자 자신’의 인생에 대한 述懷를 엿볼 수 있는 경문들이 대부분이다. 이의 근거로 「述而」편의 경문 중, 1인칭을 상징하는 ‘我’⋅‘吾’⋅‘予’로 시작하는 문장이 相當數이며, 孔子 자신의 이름인 ‘丘’로 시작하는 문장도 간혹 나타난다. 총 37개의 經文에서 이렇게 1인칭 시점으로 기술되어 있다는 것은 「述而」편이 갖는 독특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며, 이 외에도 孔子 자신에 대한 自述的 성격의 글로 간주될만한 것도 여러 개 존재한다. 또한 37개의 經文 가운데 28개는 “子曰”로 시작하고 있고, 나머지 9개의 경문은 “子”로 시작함으로써 공자를 3인칭으로 객관화시켜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공자의 弟子나 門人들이 공자를 객관화시켜 그의 대한 인상을 회고하는 장면이나 다름없다. 한편, 「술이」편에 등장하는 제자로는 ‘안연’⋅‘자로’⋅‘자공’⋅‘염유’⋅‘공서화’⋅‘무마기’가 있는데, 대부분이 공자의 직전제자로서 공자 생존 당시의 삶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본편(「述而」)의 내용이 실증적 성격을 지닌 경문으로도 看做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고에서는 「술이」편 경문 37개 중, 앞부분 15개의 경문을 우선적으로 추려내어 그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키워드

論語, 經文, 古注, 新注, 集解, 集註, 述而

참고문헌(32)open

  1. [단행본] / 1995 / 大學論語孟子中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 [단행본] / 1999 / 春秋左氏傳 / 보경문화사

  3. [단행본] / 1999 / 十三經注疏10, 論語注疏 / 북경대학 출판사

  4. [단행본] / 1978 / 十三經引得 第8 大學中庸論語孟子 / 남악출판사

  5. [단행본] 何晏 / 1970 / 論語集解(元覆宋世綏堂本) / 國立古宮博物院

  6. [기타] 皇侃 / 1923 / 論語義疏(懷德堂刊本)

  7. [단행본] 邢昺 / 1986 / 論語注疏 / 中華書局

  8. [단행본] 劉寶楠 / 1990 / 論語正義 2冊 / 中華書局

  9. [단행본] 程樹德 / 1990 / 論語集釋 4冊 / 中華書局

  10. [단행본] / 1972 / 大學說中庸說論語集說孟子定本 / 日本內外印刷株式會社

  11. [단행본] 黎靖德 / 朱子語類 / 中華書局

  12. [단행본] 延世大學校四書辭典編輯室 / 2003 / 四書集解辭典 / 성보사

  13. [단행본] 儒敎辭典編纂委員會 / 1990 / 儒敎大事典 / 박영사

  14. [단행본] 蔣秋華 / 2006 / 宋代經學國制硏討會論文集 / 臺灣中央硏究院中國哲學硏究所, 達雯印刷有限公司

  15. [단행본] 미야자키 이치사다 / 2001 / 論語 / 이산

  16. [단행본] 김영호 / 論語의 종합적 고찰 / 심산출판사

  17. [단행본] 김용옥 / 2000 / 논어한글역주 (2) / 통나무

  18. [단행본] 김용옥 / 1995 / 도올 선생 중용강의 / 통나무

  19. [단행본] 서복관 / 2007 / 中國經學史의 基礎 / 강원대학교 출판부

  20. [단행본] 성백효 / 1990 / 懸吐完譯論語集註 / 전통문화연구회

  21. [단행본] 송복 / 1999 /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 - 論語의 세계 / 생각의 나무

  22. [단행본] 이기동 / 1992 / 논어강설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3. [단행본] 이강재 / 2006 / 고증학자는 논어를 어떻게 읽었나 : 兪樾의 『論語平議』 / 學古房

  24. [학술지] 김용재 / 2015 /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6] / 동양철학연구 (81) : 7 ~ 43

  25. [학술지] 김용재 / 2012 /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5] — 「公冶長」을 중심으로 — / 漢文古典硏究 24 (1) : 303 ~ 343

  26. [학술지] 김용재 / 2012 /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4〕— 「里仁」을 중심으로 — / 동양철학연구 (70) : 247 ~ 280

  27. [학술지] 김용재 / 2012 /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 經文의 理解[3] -「八佾」을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38) : 377 ~ 411

  28. [학술지] 김용재 / 2010 /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經文의 理解 [2] -<爲政>을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34) : 387 ~ 426

  29. [학술지] 김용재 / 2008 /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 經文의 理解 [Ⅰ] -「學而」를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31) : 497 ~ 532

  30. [학술지] 김용재 / 2009 / 『論語』古注를 통해 본 『論語』經文의 해석학적 이해[1] / 동양철학연구 (59) : 7 ~ 58

  31. [학술지] 김용재 / 2008 / 『論語』 編纂에 대한 異見과 諸註釋을 통해 본 孔子의 敎育精神 / 漢文古典硏究 16 (1) : 331 ~ 355

  32. [학술지] 김용재 / 2005 / 儒敎 經典敎育의 필요성과 새로운 교육방법론 모색 / 유교사상문화연구 (22) : 337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