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유가 정치사상에서 중심 개념은 천天과 인人(=民)이다. 특히 유가 사상에서 천이 갖는 의미가 결코 작을 수 없음은, 그것이 형이상학적으로 인간과 천을 설명하는 리理와 결부되면서 정치의 분야에 까지 그 논의가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천명’의 개념을 배제하고서 동양의 정치사상의 본질을 논의하기 어렵다. 본고는 18세기 초의 일본에서, 그 동안 도덕적으로 정당하면서도 절대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었던,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의 군주의 사적私的 차원이었던 ‘천天’의 정치화가 어떻게 공적公的인 ‘민民’의 차원으로 전환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어, 일본사상사에서 고학파古學派로 분류되는 대표적 사상가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학설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동양 정치사상사에서 주자학이 지녔던 거의 절대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권위가, 일본의 에도(江戶) 시대라는 독특한 공간에서 해체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당연히 배태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그동안 억눌렀거나 억눌렸던 ‘민’에 대한 새로운 차원에서의 해석과 개념 정립이 어떤 사유 과정과 논쟁 과정을 거치며 부상했는가를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토 진사이에 대해서는 그가 보았던 ‘민民’에 대한 관념을 재검토하여 인仁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살펴보았다. 오규 소라이의 경우는 ‘선왕의 도’에 대한 개념과 “『육경』은 곧 물物이다”고 선언한 의미를 규명하면서 그의 안민천하의 정치론을 논했다. 이들 두 사상가가 펼친 정치관의 의미는 과거의 가치관을, 당대의 문제를 치유할 수 있는 일종의 치유책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이 진사이에게서는 ‘인’의 새로운 해석에 바탕한 ‘왕도의 구현’으로 나타났고, 소라이에게서는 ‘선왕의 도’에 바탕한 도덕으로부터의 정치의 독립이라는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키워드

儒家, 天, 人, 民, 江戶시대, 古學派, 伊藤仁齋, 荻生徂徠, 仁, 六經, 先王의 道, 安民天下

참고문헌(13)open

  1. [단행본] 吉川幸次郞 / 1982 / 日本思想大系36 荻生徂徠 / 岩波書店

  2. [단행본] 井上哲次郞 / 1970 / 日本倫理徽編古學派の部中五 / 臨川書店

  3. [단행본] 井上哲次郞 / 1970 / 日本倫理徽編古學派の部下六 / 臨川書店

  4. [단행본] 關義一郞 / 1925 / 日本名家四書註釋全書(1) / 東洋圖書刊行會

  5. [단행본] 荻生徂徠 / 1978 / 荻生徂徠全集(第二卷) / 河出書房新社

  6. [단행본] 丸山眞男 / 1995 / 日本政治思想史硏究 / 東京大學出版會

  7. [단행본] 辺浩 / 1985 / 近世日本社會と宋學 / 東京大學出版會

  8. [단행본] 渡辺浩 / 2010 / 日本政治思想史(17∼19世紀) / 東京大學出版會

  9. [단행본] 田原嗣郞 / 1992 / 德川思想史硏究 / 未來社

  10. [단행본] 田原嗣郞 / 1991 / 徂徠學の世界 / 東京大學出版會

  11. [단행본] 良亨 / 1998 / 伊藤仁齋 / ぺりかん社

  12. [단행본] 源了圓 / 1995 / 德川思想小史 / 中央公論社

  13. [단행본] 고희탁 / 2009 / 일본 근세의 공공적 삶과 윤리 / 논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