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27.jpg
KCI등재 학술저널

플라톤의 에로스론과 도덕교육적 함의

Plato’s Theory of eros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 204

플라톤은 에로스를 철학적으로 해명한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그는 에로스라는 개념을 통해 동물과 신 사이의 중간자로서 인간이 아름다움과 선함을 영원히 지니기를 원하는 존재임을 밝힌다. 에로스의 상승과정을 볼 때 그것은 육체적 사랑으로부터 출발하지만 필리아와 아가페의 면모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플라톤의 에로스론이 지닌 도덕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그의 저서 「향연」과 「파이드로스」를 통해 에로스의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였고, 그의 저서 「국가」를 염두에 두고 에로스론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이끌어 냈다. 먼저 에로스로 표현되는 미의 추구는 이원화된 세계에 다리를 놓아 줌으로써 두 세계 사이의 소통의 계기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정화된 에로스는 가치인식의 근거로서 일종의 가치감이다. 끝으로 에로스의 상승과 하강은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교육적 사랑의 관계를 제시한다.

Plato is one of philosophers scrutinizing eros as a philosophical context. The concept of eros gives us implications that human as indeterminate being aspires to possess beauty and goodness forever. According to Plato’s the ladder of beauty, it starts from sexual desire, but it has an aspect of philia and agape in the process of ascent & descent. This paper delves into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lato’s theory of eros based upon his writings: Symposium, Phaedrus and Republic. First, The pursuit of beauty makes a bridge between the sensible world and the intelligible world. Second, purified eros approaches moral insight. Last, ascent and descent of eros shows us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love.

Ⅰ. 서론

Ⅱ. 플라톤의 에로스론 개요

Ⅲ. 에로스의 자기완성과 교육의 문제

Ⅳ. 플라톤 에로스론의 현대 도덕교육적 함의

Ⅴ. 결론을 대신하여: 정화된 에로스는 어떻게 가능한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