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존재론은 장자철학의 핵심문제이다. 존재에 대한 구상 위에 장자의 모든 철학은 올라서 있는 것이다. 존재론이 장자철학의 토대이고, 이 존재론 속에서 구상화된 철학적 구조에 의하여 장자의 모든 생각과 주장들은 장자철학 다운 특수한 의미를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장자철학의 존재론적 구조는 아주 넓고 깊다. 그러므로 그것을 단숨에 총체적으로 조감하여 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런 점에서 나는 장자의 존재론 속에서 가장 특징적인 개념, ‘무무’와 관련된 이야기를 일단 여기서 진행시켜 보고자 한다. ‘무무’는 그 자체만으로 놓여진다면 존재철학의 빠져나올 수 없는 늪이다. 그러나 장자는 그것을 ‘광요’, 즉 ‘빛’과 하나로 연결시켜 놓고 있다. ‘빛’은 가장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존재성, 하나의 존재성, ‘나’의 존재성 영역이다. ‘나’의 존재성과의 조우를 통하여 철학적 경험은 시작되게 마련이다. 이 조우로부터 오는 충격이 크면 클수록 존재론에 대한 사유는 반복적으로 계속되게 마련이고. 그 개념적 깊이와 넓이를 심화, 확장시켜 나가게 마련이다. 장자의 사유는 아주 깊고, 아주 넓게 펼쳐져 나간다. 그리하여 ‘빛’ 속에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나의 존재성’은 ‘무무의 존재성’에 가 닿는 데에까지 이르게 된다. ‘빛’은 밝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것은 존재성의 현상적 구조를 떠오르게 한다. 나누어지고, 분명하여 지고, 특수화 되어서, 결국 그 ‘빛’ 속에 존재는 가두어져 버리게 된다. ‘빛’은 현상성을 얻은 존재, ‘자아’라는 이름을 부여받을 수 있는 하나의 개체이다. ‘자아’라고 하는 현상적 존재성의 그릇 속에 가두어져 버리면 존재는 그 세계와 근원적 단절을 겪게 된다. ‘무무’는 구체로 특수화 된 존재를 ‘무’로 환원시키는 개념이다. ‘무’는 ‘광요의 빛’ 속에 드러난 현상적 존재의 잠재된 존재성을 의미하고, ‘무무’는 그 현상적 존재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잠재적 존재성을 더 깊은 존재성의 바닥으로 끌고 들어가 세계 전체와 연관된 총체적 존재성의 바탕구조로 확장시켜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무’는 세계 전체의 총체적 존재성이고, 동시에 어떤 개별적 존재성의 가능근거이고 바탕구조이다. 모든 개별적 존재의 현상적 존재성은 세계 전체의 총체적 존재성 위에서, 그 총체적 존재성을 바탕적 근거로 공유하면서, 그 자신의 현상적 존재성이 놓여지는 좌표를 확정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현상적 존재성과 총체적 존재성을 복합적으로 내재하게 된다. 그것은 개체적 존재성의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세계내적존재로서의 자신의 비존재적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키워드

존재론, 무무, 광요, 주체적 존재성, 세계내적존재, 비존재적존재성

참고문헌(32)open

  1. [기타] / 莊子

  2. [기타] / 道德經

  3. [단행본] 林希逸 / 莊子口義

  4. [단행본] 王弼 / 1929 / 老子 / 新興書局

  5. [단행본] 焦竑 / 老子翼

  6. [단행본] 焦竑 / 莊子翼

  7. [단행본] 王夫之 / 1976 / 莊子解 / 中華書局

  8. [단행본] 박세당 / 南華經註解

  9. [단행본] 李勉 / 1973 / 莊子總論及分篇評注 / 臺灣商務印書館

  10. [단행본] 任繼愈 / 1985 / 老子新譯 / 上海古籍出版社

  11. [단행본] 張恒壽 / 1983 / 莊子新探 / 湖北人民出版社

  12. [단행본] 陳鼓應 / 1992 / 老莊新論 / 上海古籍出版社

  13. [단행본] 陳鼓應 / 1993 / 白話先秦諸子 / 黃山書社

  14. [단행본] 李玲莉 / 1995 / 道敎十三經

  15. [단행본] 張成秋 / 1972 / 先秦道家思想硏究 / 臺灣中華書局

  16. [단행본] 嵇哲 / 1974 / 先秦諸子學 / 洪氏出版社

  17. [단행본] 張立文 / 1989 / 道 / 중국인민대학출판사

  18. [단행본] 董光璧 / 1994 / 도가를 찾아가는 과학자들 / 예문서원

  19. [단행본] 塚本哲三 / 1922 / 淮南子 / 有朋堂書店

  20. [단행본] 陳鼓應 / 1987 / 老莊論集 / 齊魯書社出版

  21. [단행본] 任繼愈 / 1961 / 莊子哲學討論集

  22. [학술지] 권상우 / 2016 / 유학의 ‘사이(際)’윤리학: 惻隱과 恕 / 동서철학연구 (79) : 95 ~ 116

  23. [단행본] 윤천근 / 1980 / 노장철학의 현대적 조명 / 외계출판사

  24. [학술지] 윤천근 / 2014 / 장자철학에서 자아와 타자의 문제 / 동서철학연구 (73) : 5 ~ 32

  25. [학술지] 윤천근 / 2015 / 장차철학에서 변화와 시간의 문제 / 동서철학연구 (76) : 85 ~ 108

  26. [학술지] 윤천근 / 2017 / 장자철학에서 공간과 경계의 문제 / 동서철학연구 (84) : 65 ~ 96

  27. [단행본] 강학순 / 1976 / 존재와 공간 / 한길사

  28. [단행본] 하이데거 / 2001 / 존재와시간 / 까치글방

  29. [단행본] 하이데거 / 2013 / 시간개념 / 도서출판 길

  30. [단행본] 소광희 / 1987 / 허원선생 이경선생 회갑기념논문집

  31. [단행본] 스티븐 호킹 / 1991 / 시간과 화살 / 두레

  32. [단행본] 한스 그라스만 / 2002 / 쿼크로 이루어진 세상 / 생각의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