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동서양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in the East and the West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09 no.52, pp.301 - 324
DOI : 10.15841/kspew..52.200906.301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63 회 열람

동서양의 많은 철학자들이 인간의 본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은 인간의 본성을 규명함으로써, 인간이 왜 그러저러한 방식으로 존재했고,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존재할 수밖에 없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인간을 이해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모두를 만족시킬 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 글은 과거의 성과를 돌이켜봄으로써,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해본다. 이 글에서 나는 인성과 물성에 대해 깊은 성찰을 했던 중국의 주희(1130-1200)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를 비교하고, 그들이 제시했던 인간의 본성 개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고, 또한 그에 대한 근거가 얼마나 체계적이고 타당한 방식으로 제시되는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 탐구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를 찾는 계기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philosophers in the East and the West have had the continuous concern for human nature. The reaosn for their concern is to illustrate why human beings lived, live, and will live in such and such a way. Although lots of efforts have been made in various fields of study, none of them have been so successful as to satisfy all the scholars who are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human nature. Since this is the case, I shall try to establish a new way to view human nature by reconsidering the views produced in the past. In this paper, I shall compare the views of the Chinese philosopher, Chu Hsi(1130-1200), with those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Aristotle(384-322 B. C.), both of whom were deeply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discuss what their conceptions of human nature were, and evaluate how well and validly they presented their own ground for the conceptions. Through this discussion, we shall be able to find a new way to study human beings and the real value of human beings.

본성, 주희, 아리스토텔레스, 질료-형상, 리-기
Nature, Chu Hsi, Aristotle, Form-Matter, Li-Ki

  • 1. [단행본] Ackrill, J. L. / 1979 / Aristotle’s Definitions of Psuche in: Articles on Aristotle 4 / Duckworth
  • 2. [단행본] Barnes, J. / 1984 / The Complete Works of Aristotle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3. [단행본] Cohen, S. M. / 1992 / Hylomorphism and Functionalism in: Essays on Aristotle’s De Anima / Clarendon Press
  • 4. [단행본] Durrant, M. / 1993 / Aristotle's De Anima in Focus / Routledge
  • 5. [단행본] Ross, W. D. / 1936 / Aristotle’s Physics. A Revised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 Clarendon Press
  • 6. [단행본] Ross, W. D. / 1949 / Aristotle / Barnes & Noble
  • 7. [단행본] Verdenius, W. J. / 1983 / Hylozoism in Aristotle in: Graceful Reason / Polit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 8. [단행본] Charlton, W. / 1970 / Aristotle's Physics: Books I and Ⅱ / Clarendon Press
  • 9. [단행본] Clark, S. R. L. / 1975 / Aristotle’s Man / Clarendon Press
  • 10. [단행본] B. 몬딘 / 1996 / 인간: 철학적 인간학 입문 / 서광사
  • 11. [단행본] R. G. 콜링우드 / 2004 / 자연이라는 개념 / 이제이북스
  • 12. [단행본] 김충렬 / 1982 / 동양 인성론의 서설 in: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 연세대학교 출판부
  • 13. [단행본] 김형찬 / 1995 / 인간과 만물의 차별성에 대한 검토 in: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 14. [학술지] 류근성 / 2007 / 맹자 도덕철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문제 / 동양철학연구 (52) : 277 ~ 52 kci
  • 15. [학술지] 맹주만 / 2000 / 인간 복제와 인간의 가치 / 철학탐구 / 12
  • 16. [단행본] 모종삼 / 2001 / 동양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 소강
  • 17. [단행본] 몽배원 / 2008 / 성리학의 개념들 / 예문서원
  • 18. [단행본] 몽배원 / 1996 / 중국 심성론 / 법인문화사
  • 19. [단행본] 방립천 / 1998 / 중국철학과 인성의 문제 / 예문서원
  • 20. [단행본] 성백효 / 1991 / 大學ㆍ中庸集註 / 전통문화연구회
  • 21. [단행본] 성백효 / 1991 / 孟子集註 / 전통문화연구회
  • 22. [단행본] 에머리히 코레트 / 1986 / 哲學的 人間學 / 종로서적
  • 23. [단행본] 앤드류 우드필드 / 2005 / 목적론 / 계명대학교 출판부
  • 24. [단행본] 오하마 아키라 / 1997 / 범주로 보는 주자학 / 예문서원
  • 25. [단행본] 유원기 / 2001 / 영혼에 관하여 / 궁리
  • 26. [학술지] 유원기 / 2002 / 본성에 관한 동서양의 이론 / 철학사상 / 2
  • 27. [학술지] 유원기 / 2008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인간학 / 가톨릭신학과사상 (62) : 56 ~ 62 kci
  • 28. [학술지] 유원기 / 2006 / 율곡의 리기론에 대한 현대적 고찰 / 철학논총 / 4 (46) : 223 ~ 46 kci
  • 29. [단행본] 유원기 / 2009 / 자연은 헛된 일을 하지 않는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 서광사
  • 30. [단행본] 윤사순 / 1997 / 한국유학사상론 / 예문서원
  • 31. [단행본] 이강대 / 2000 / 주자학의 인간학적 이해 / 예문서원
  • 32. [학술지] 이광률 / 2004 / 朱子에 있어 ‘도덕적 인간’에 관한 문제 / 범한철학 / 35 (겨울) : 5 ~ 겨울 kci
  • 33. [학술지] 이상곤 / 1993 /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개념설정과 존엄성 / 역사와사회 / 2
  • 34. [학술지] 이상돈 / 2008 / 주희 철학에서 氣質과 本性의 관계 / 철학 (95) : 39 ~ 95 kci
  • 35. [단행본] 이애희 / 2005 / 인물지성-인간과 사물의 본질 in: 조선유학의 개념들 / 예문서원
  • 36. [학술지] 이애희 / 1992 / 주희의 인물성론 / 중국철학 / 3
  • 37. [단행본] 이애희 / 2004 / 조선후기 인성ㆍ물성 논쟁의 연구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38. [학술지] 이철승 / 2004 /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의미 -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36) : 389 ~ 36 kci
  • 39. [학술지] 임헌규 / 1999 / 유가의 인성론과 심성론 / 동방학 / 5
  • 40. [단행본] 전호근 / 1995 / 주희 심성론의 한국적 전개를 위한 최초의 갈등 in: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 41. [단행본] 주희 / 朱子全書 / 상해고적출판사, 안휘교육출판사
  • 42. [단행본] 주희 / 1986 / 四書或問 / 경보문화사
  • 43. [단행본] 진래 / 1997 / 송명 성리학 / 예문서원
  • 44. [단행본] 진래 / 2002 / 주희의 철학 / 예문서원
  • 45. [단행본] 홍원식 / 1994 / 인간의 본성에 관한 논쟁 in: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 예문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