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유학철학의 발전사에서 문예와 도의 관계는 주종 혹은 본말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입장은 공자에서부터 시작되어 순자에 이르러 체계화되었고, 송대의 주희에 이르러 도기론(리기론)과 연계되어 존재론적 근거까지 확보하게 된다. 필자는 도와 문예의 위상을 도기론을 근거로 규정하면, 도가 主ㆍ本ㆍ尊의 위치를 차지하고, 문예는 從ㆍ末ㆍ卑의 지위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필자의 견해는 문예활동에 대한 도학자의 행적으로 근거로 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文以貫道ㆍ文以載道ㆍ文道合一이라는 문도론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러한 양자의 위상 설정으로써는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문예관을 도출하기 어렵다. 필자는 문예와 도를 본말 혹은 주종의 관계가 아닌 상호 수평적인 위상을 전제로 유기적 관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문과 도는 심미주체와 도덕주체라는 상이한 두 주체에 의하여 성취된다. 그러나 문이라는 통로가 전제되지 않으면 도는 표현될 수 없고, 또 도로부터 일탈한 문(예)은 자칫 화려한 형식과 문사에만 치중하여 지적완농(知的玩弄)으로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나치면 패덕(敗德)의 문(예)으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의 유기적 연계가 요청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호간의 독립성을 긍정하고서 상보적 입장에서 상호간의 연계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키워드

문예관, 리기론, 도기론, 문도합일, 다원주의.

참고문헌(25)open

  1. [단행본] / 論語

  2. [단행본] / 孟子

  3. [단행본] / 荀子

  4. [단행본] / 周易

  5. [단행본] / 韓昌黎文集

  6. [단행본] / 通書

  7. [단행본] / 二程全書

  8. [단행본] / 朱子語類

  9. [단행본] / 朱文公文集

  10. [단행본] / 象山全集

  11. [단행본] / 傳習錄

  12. [단행본] 曹丕 / 典論

  13. [단행본] 錢穆 / 1987 / 『朱子新學案』 下卷 / 巴蜀書社

  14. [단행본] 김학주 / 2001 / 중국문학사 / 신아사

  15. [단행본] 박이문 / 2001 / 문학과 철학의 만남 / 민음사

  16. [단행본] 莫礪鋒 / 朱熹文學理論硏究 / 南京大學出版社

  17. [학술지] 潘立勇 / 2001 / 朱熹對文道觀的本體論發展及其內在矛盾 / 學術月刊 5

  18. [학술지] 강택구 / 주희 시론에 있어서의 성정의 문제 / 중국한논총 19

  19. [학술지] 강택구 / 도와 문의 관계에 대한 주자의 이론 / 중국학논총 10

  20. [학술지] 이종호 / 유교의 문학관과 미의식 / 대동문화연구 38

  21. [학술지] 임태승 / 해체와 혼돈 /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12)

  22. [학술지] 조민 / 1998 / 중국문화에서의 철학과 문학의 관계 / 시대화 철학 9

  23. [학술지] 홍광훈 / 전통유가의 문학이론에 대한 송대 도학가의 이견 / 중국어문학 26

  24. [학술지] 황갑연 / 2011 / 유가철학에서 정신세계의 영역 그리고 상호 교류와 운용에 관한 고찰 -도덕주체・지성주체・감성주체를 중심으로- / 범한철학 62 (3) : 31 ~ 59

  25. [학술지] 황갑연 / 유가철학에 있어서 문과 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범한철학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