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Erasmus on Free Will

  • 100

에라스무스와 루터는 자유의지의 인정 여부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이성과 의지를 지닌 인간이 어떤 존재이며 인간이 받아야 할 교육은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에라스무스는 인간이 신이 부여한 이성과 자유의지를 통해서 선과 악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고, 루터는 원죄사건 이후 인간의 이성과 자유의지가 타락하여 무력하게 되었으므로 악의 노예가 된 존재라고 보았다. 이 논쟁은 본래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가 벌인 자유의지 논쟁을 이어받은 것이나, 기존의 논쟁이 기독교의 교리를 정당화하는 종교적 측면이 강조된 반면, 에라스무스는 이 논쟁이 함의하고 있는 교육적 측면을 부각시켰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교육을 통하여 이성과 의지가 자유롭게 되며 종교적으로 경건한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The debate between Erasmus and Luther essentially came down to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the doctrines of human will and divine omniscience and omnipotence. While Luther focused on the control and power which God held over creation, Erasmus focused on the justice and liberality of God toward humankind. Luther contended that human was deprived of free will by sin and that divine predestination ruled all activity. He asserted that God was completely omniscient and omnipotent that anything which happened had to be the result of God’s explicit will and that God’s foreknowledge of events in fact brought the events into human being. However, Erasmus argued that foreknowledge did not equal predestination. Erasmus maintained if humans had no free will, God’s commandments and warnings would be futile and if sinful acts were in fact the result of God’s predestination, then that would make God a cruel tyrant who punished his creations for sins he had forced them to commit. Rather, Erasmus insisted, God had endowed human with free will, valued that trait in humans, and rewarded or punished them according to their own choices between good and evil. Therefore, human should have an education to cultivate reason that helps the will to choose freely the good things.

Ⅰ. 서론

Ⅱ. 자유의지 논쟁의 배경

Ⅲ.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자유의지 논쟁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