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인도철학의 실재관과 인과성에 대한 용수의 비판 - 용수의 『중론』을 중심으로 -

Nāgārjuna’s Critique on Reality and Causality of Indian Philosophy - on the basis Madhyamaka - Śāstra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6 no.81, pp.127 - 152
DOI : 10.15841/kspew..81.201609.127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200 회 열람

인도철학에 있어 실재의 문제는 깨달음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인식론적ㆍ존재론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실천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불교가 발생하게 된 사상적 배경 중의 하나가 바로 고정불변한 실재를 주장하는 인도정통사상을 비판하기 위해서였으며, 반야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새롭게 일어난 것도 사상적인 측면에서 볼 때, 부파불교(아비다르마)의 실재관에 대한 부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런데 실재의 문제는 존재의 생성과 변화의 관한 문제로 인과의 문제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인도정통철학은 궁극적 실재의 생성 원리를 인과론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인도정통철학의 실재관과 인과론에 대해 무자성 공의 입장에서 철저하게 비판한 불교 학자가 용수(Nāgārjuna, 대략 A.D. 150-250)이다. 본 논문은 아뜨만에 근거한 인도정통철학의 실재관과 인과론이 용수의 무자성 공관에 의해 어떻게 비판되는지를 『중론』(Madhyamaka-Śāstra)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The sturacture of Mādhyamika thought’s enlightment and nirvāna on the basis of Sūnyatā, prapañca, and Two Truths of Nāgārjuna’s Madhyamaka-Śāstra. Mādhyamika thought assertion is nihsvabhava, so nothing can exist by substantly. Then Mādhyamika thought prescripe nirvāna as a Non-differentiating world gaining by expierience and self-awareness about Sūnyatā. So in that world samsara is True-Self acting by Non-dualistic, Equity, and holistic. Nirvāna and samsara are not abandoned and pursued. Nāgārjuna deny all kind of distinctive thinking through Four Phrases-Negation. Nirvāna isn’t establised on the point of svabhava. Because If Nirvāna is being’s svabhava, it could not achievable for its own Consistency, difference, and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If Nirvāna is nonbeing’s svabhava it will be the same. So Mādhyamika thought’s nirvāna is the structure of samsara that is nirvāna. This logic can be explaning by Two Truths of Mādhyamika thought, in other words samsara and nirvāna are one world. Passion’s life can be reach nirvāna of ‘Musim', Renunciation, that is Mādhyamika thought’s nirvāna.

불교철학, 용수, 공, 무자성, 실재, 인과
Buddhism, Nāgārjuna, Sūnya, nihsvabhava, Reality, Causality

  • 1. [기타] 龍樹 / 中論 (大正藏 30)
  • 2. [기타] 龍樹 / 寶行王正論 (大正藏 32)
  • 3. [기타] 龍樹 / 廣破論
  • 4. [기타] 龍樹 / 大智度論 (大正藏 25)
  • 5. [기타] 용수 / 十二門論 (大正藏 30)
  • 6. [단행본] 三枝充悳 / 1979 / 第3文明史
  • 7. [단행본] 찬드라키르티 / 2011 / 쁘라산나빠다 4 / 푸른가람
  • 8. [단행본] 정해창 / 1995 / 동서양의 실재관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9. [학술지] 길희성 / 1982 / Upanisad에 있어서 自我(ātman)의 探索-Advaita Vedānta의 立場으로부터 / 철학 / 17
  • 10. [단행본] 뿔리간들라 / 1991 / 인도철학 / 민족사
  • 11. [단행본] 무르띠 / 1995 / 불교의 중심철학 / 경서원
  • 12. [단행본] David J. Kalupahana / 1975 /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 The University Press of Hawall
  • 13. [학술지] 丸井 浩 / 2005 / Nyayavarttikaにおける存在者性·知識対象性·表示対象性 / 印度學佛教學研究 / 53 (2)
  • 14. [기타] Stcherbatsky / 1970 / Soul theory of the Buddhists, with a preface by Thakur Jaideva Singh Bhāratīyā Vidyā Prakāśan
  • 15. [단행본] Radhakrishan / 1977 / Indian Philosophy Vol. I / George Allen & Unwin
  • 16. [학술지] 岡崎康浩 / 1989 / 初期ニヤーヤ学派における知覚論の展開: Vacaspatimisra に帰せられる知覚論をめぐって / 印度學佛教學研究 / 38 (2)
  • 17. [단행본] 中村元 / 1981 / 佛敎語大辭典 / 東京書籍
  • 18. [단행본] 平川彰 / 1974 / インド佛敎史 / 春秋社
  • 19. [단행본] E. B. Calcutta / 1864 / Udayana Nyāya kusumañjali with commentary of Hari Dasa Bhattacarya / Mission Press
  • 20. [단행본] 양혜남 / 1995 / 中觀哲學 / 경서원
  • 21. [단행본] S. Radhakrishnan / 1968 / The Principal Upanisṣds / Geore Allen & Unwin LTD
  • 22. [단행본] 前田專學 / 1980 / ヴェーダーンタの哲学 : シャンカラを中心として / 平楽寺書店
  • 23. [단행본] S. R. Bhatt / 1997 / Companion encylopedia of Asian philosophy / Routledge
  • 24. [학술지] 윤종갑 / 1998 / 實在(有)와 空에 대하여: 初期佛敎의 空思想에서 船若經의 我空法空으로 / 철학논총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