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Philosophy

ISSN: 1000-7660

4 found

View year:

  1.  3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aste :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Hume and Kant. 권오상 - 2023 - Modern Philosophy 21:5-35.
  2.  2
    Knowledge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Particulars and Super-Explanatory Properties. 권희진 - 2023 - Modern Philosophy 21:115-140.
    본 논문은 양상 인식론에서의 합리주의가 개별자의 본질에 대한 지식을 해명할 수 없다는 소니아 로카-로이즈(Sonia Roca-Royes)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합리주의가 형이상학적 필연성과 가능성에 대한 지식을 해명하기 위해 본질에 대한 지식을 우선 해명해야 한다는 점을 1절에서 설명한다. 2절에서는 양상성이 적재된 개념으로부터 개별자의 본질에 대한 지식이 획득될 수 없다는 로카-로이즈의 주장을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제시한다. 3절에서는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더라도 여전히 개별자의 본질에 대한 지식이 개념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을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양상성이 적재되지 않은 개념으로부터 초설명적 속성을 통해 본질에 대한 일반적 원리를 도출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The Inherent Hybridity of Tragedy : Rethinking Nietzsche’s Theory of Tragedy. 정대훈 - 2023 - Modern Philosophy 21:37-71.
    본고에서 필자는 근대적 형식으로 재탄생할 경우 비극이 갖추어야 할 개방성의 근원으로서 비극의 태생적 혼종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이는 『비극의 탄생』에서 고대 그리스 비극에 대한 니체의 낭만주의적 서사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요구한다. 비극에 대한 낭만주의적 서사는 예술의 순연성과 이론적 학문성 간의 양립 불가능한 대립에 기초해 있다. 하지만, 『비극의 탄생』의 모체가 된 두 강연(“그리스 악극”, “소크라테스와 비극”)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를 통해 본고는 이러한 낭만주의적 대립 서사 아래 숨겨져 있는 예술성과 논리성, 서정성과 서사성 간의 혼종 관계가 비극의 태생적 조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비극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2
    Limits of Determinism in Modern Science: Focus on Bergson and De Broglie. 황수영 - 2023 - Modern Philosophy 21:73-113.
    근대과학은 시공간 속에서 물질의 운동을 계산가능한 양적 법칙으로 다룸으로써 세계의 구조와 변화를 설명한다. 결정론은 우주의 구조를 이루는 모든 요소들과 전개의 법칙들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는 입장이다. 베르그손과 드브로이는 공통적으로 이러한 고전역학의 전제와 설명방식을 문제삼는 데서 출발한다. 베르그손이 시간과 운동의 관념들을 철학적으로 심화시키는 과정에서 고전역학의 태도를 직접 겨냥하고 있다면 드브로이는 소립자의 파동성과 입자성의 관계라는 구체적인 문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고전역학적 사고방식의 한계에 봉착한다. 드브로이는 베르그손철학과 양자역학의 유사성을 세 가지로 분석해 보여준다. 첫째는 위치변화로서의 운동 개념에 대한 비판이다. 둘째는 전통적 인과율을 벗어나는 예측불가능성 개념의 부상이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Previous issues
  
Next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