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year:

  1.  3
    On Media and the Production of Images. 심혜련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2:25-46.
    디지털 매체는 인간의 존재 방식, 사유 방식 그리고 소통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실 매체와 예술은 분리 불가능하다. 예술은 무엇인가를 외부로 표현해야만 존재할 수 있고, 표현하기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술은 새로운 기술적 장치를 표현의 도구로 적극 사용했다. 그러나 점차 예술 생산에서 매체의 비중이 커지면서, 매체예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최초의 매체 예술은 사진이다. 사진이 이미지의 기술적 복제와 재생산을 가져왔다면,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의 변형을 가져왔다. 디지털 매체 시대에서는 원본성과 무관한 이미지들이 등장하기도 하고, 또 이미지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A Cognitive Approach to Conceptual Scheme and Reasoning: Focusing on Similarity and Case/Model-Based Reasoning. 정동욱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2:1-2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The Study on Integrating WAC in Medical Education: Focus on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Dae Seok Jeon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1:71-99.
    이 글은 의학교육에 전공 연계 글쓰기(WAC)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을 보이기 위해 먼저 의학교육에 WAC을 적용하고자 할 때 글쓰기와 연계할 수 있는 의학교육의 내용이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의과대학이 가진 제약조건 아래서 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WAC 모형을 재안하고, 그것의 교육 내용과 구성을 보이고자 한다. 첫째, ‘과제 연계형 글쓰기 집중’ 모형은 우리나라의 많은 대학에서 이미 적용하여 시행하고 있는 과제 연계형 글쓰기 교육과 글쓰기 집중(WI)을 융합한 형태의 글쓰기 교육이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6
    Plato’s Symposium as a Second Apology: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an Agon against Sophists and a Serious Play.Chol-Ung Kang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1:1-35.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4
    The Possibility of a Postcolonial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Philosophy: Its Introductory Review.Min Cheol Park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1:37-7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3
    Chair et Institution chez Merleau-Ponty pour le réalisme propre à l'homme. 신인섭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0:33-57.
    현상학은 어떻게 자연과의 연속성 속에서 인간적인 것을 사유할 수 있으며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출(institution)의 관점에서는 실존의 통일성을 표현할 수도 있는 것일까? 메를로퐁티는 ‘자연주의적 양도’ 없이 그러나 그의 살의 개념과 연결된 ‘실재론적 옵션’을 통해 이것을 실현한다. 즉 존재하는바 그대로를 그냥 반복하거나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체를 초과하는 세계를 믿는 것이고, 사태들 너머로 합당한 결과를 낳는 우주를 믿으며, 따라서 이 사태들을 초월하고 판단하는 우주를 믿는 것이다. 세계가 관념성과 이상성의 담지자인 것은 그것이 생명과는 다른 질서로부터이기 때문이 아니라 반대로 인간 생명체의 고안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Despair’ as a ‘Self-Relationship Diseas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Focusing on Kierkegaard’s The Sickness unto Death. 홍경자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0:1-32.
    이 논문은 지금까지 규정되어온 절망에 관한 통속적이고 피상적인 고찰과 불충분한 이해에서 벗어나 인간이 왜 절망하는지 그 본질적 문제에 주목하고, 나아가 절망 끝에 숨어있는 새로운 삶의 시작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해 논의한다. 현대를 ‘절망의 시대’로 선언한 키에르케고어가 그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절망을 죽음의 병으로 규정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절망이 현실적인 문제로 인한 일시적인 혼란의 감정이 아니라면 도대체 왜 인간은 절망하는지, 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한 뒤, 절망에 빠진 인간이 삶을 지탱해나갈 수 있는 근원을 오히려 절망에서 찾는 키에르케고어의 역설적 시도를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The Concept of Law in Deleuze and Agamben.강선형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43-173.
    들뢰즈와 아감벤은 철학의 영역에서 법을 사유하는 중요한 현대적 이론들을 제공하는 철학자들이다. 들뢰즈의 법에 대한 연구는 그 자신의 시간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아감벤의 법에 대한 연구는 자신의 철학의 핵심 개념인 배제-포함 구조를 통해서 사유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런데 두 사람은 모두 카프카를 경유하여 두 사람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으로 나아간다. 먼저 들뢰즈는 카프카의 「법 앞에서」에서 우리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그 내용이 주어져 있지 않은 법이 우리에게 처벌을 내림으로써만 언표된다는 것을 읽어낸다. 더 나아가 『소송』에서 K에게 완전한 무죄판결이란 없으며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Nietzsche’s Philosophy of Life and the Theory of Happiness as Side Effect.강용수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09-141.
  10. Die Geschichtlichkeit des Verstehens und das geschichtliche Verstehen.김창래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65-108.
    해석학은 인간의 역사적 삶의 현실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기에 근본에 있어 역사적 이해의 학문이다. 따라서 모든 해석학적 이해의 근본 형식은 ‘역사적 이해’다. 이 개념과 밀접히 관련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이해의 역사성’이다. 두 용어는 상호 귀속적으로 보인다. 인간은 역사적 존재자이므로 모든 인간적 이해는 역사의 규정을 피할 수 없고 역사의 규정 아래 진행되는 모든 이해는 역사적 이해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두 개념과 이들의 관계는 자명하고 여기에는 어떤 오해의 소지도 없는 것 같다. 그러나 현대의 두 대표적인 철학적 해석학자인 딜타이와 가다머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2
    Commonism as a Philosophy of the Commons: Toward an Ethics of Self-Transformation.박서현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48.
    이 글은 커먼즈의 철학으로서의 공통주의가 제기하는 윤리적 과제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 글에서는 커먼즈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검토하고 이러한 이해와 이탈리아 정치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와 그의 제자이자 동료인 마이클 하트의 커먼즈 이해의 차이를 제시하며, 이들에게 커먼즈 개념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오늘날의 자본주의적 생산에서는 비물질적 커먼즈를 수단으로 하여 비물질적 커먼즈를 생산하는 경향과 함께 이러한 생산이 생산적 주체들의 자율적 협력을 통해 이뤄지는 경향이 존재한다. 물론 사적 소유, 소유 개인주의로 점철된 세계에서 생산적 주체들은 더 큰 인적자본으로의 자기 가치화를 추구하는 경제인,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Commonism as a Philosophy of the Commons: Toward an Ethics of Self-Transformation.박서현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75-203.
    이 글은 커먼즈의 철학으로서의 공통주의가 제기하는 윤리적 과제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 글에서는 커먼즈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검토하고 이러한 이해와 이탈리아 정치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와 그의 제자이자 동료인 마이클 하트의 커먼즈 이해의 차이를 제시하며, 이들에게 커먼즈 개념이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오늘날의 자본주의적 생산에서는 비물질적 커먼즈를 수단으로 하여 비물질적 커먼즈를 생산하는 경향과 함께 이러한 생산이 생산적 주체들의 자율적 협력을 통해 이뤄지는 경향이 존재한다. 물론 사적 소유, 소유 개인주의로 점철된 세계에서 생산적 주체들은 더 큰 인적자본으로의 자기 가치화를 추구하는 경제인,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Kant on Practical Reason and Action.오창환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33-64.
    이 글은 칸트 특유의 ‘실천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칸트의 행위이론을 다룬다. 먼저, 칸트의 고유한 이성 개념, 즉 ‘실천이성’의 의미를 분명히 한 뒤, 도덕 외적인 차원까지 포괄하여 칸트의 행위 개념을 고찰한 다음, 칸트 철학에서 도덕적 행위이론을 위한 전제들을 탐구한다(Ⅱ). 다음으로, 자연인과성에서 귀결되는 행위 일반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 및 다른 행위의 가능성을 탐구한 뒤,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실천이성과 의지의 동일시 논변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행위의 성립 조건과 실천적 필연성 혹은 이성의 강요(필연화)를 살펴본다(Ⅲ). 이를 통해 이 글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칸트의 설명이 훨씬 더 복잡한 중층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1
    The Value Problem for Knowledge and Reliabilist Virtue Epistemology.오희철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81-104.
  15. The Value Problem for Knowledge and Reliabilist Virtue Epistemology.오희철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239-276.
  16.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Kim Chang-hyeop’s Four-Seven Theory.이준영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31.
    김창협의 「사단칠정설」은 그의 변화하는 생각을 수시로 기록한 필기였다. 본 글은 「사단칠정설」에서 주리주기 구분 및 칠포사 논제와 관련한 김창협의 논증과 주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리주기 구분과 관련해서, 김창협은 일관되게 사단을 주리, 칠정을 주기로 구분하지만, 그 논증에는 차이가 있다. 처음에 그는 설명 방식과 수양론 측면의 개념 차이를 통해 주리·주기를 구분하며, 이는 기대승의 해석과 유사했다. 이후 그는 사단과 칠정의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의 차이에 근거해서 주리·주기를 구분하는데, 이는 그의 경위설 논제에 근거한 해석이다. 칠포사와 관련해서, 처음에 그는 칠정이 사단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교집합은 있다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7.  1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Free Will, and Morality: The Human 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aniel Dennett’s Natural Philosophy. 조현우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49-80.
    데넷에 의하면 인간의 의식, 자유의지, 도덕성은 자신의 복제자를 더욱 많이 퍼트리기 위해 만든 밈의 기생공간이자 정보고속도로인 뇌와 신경계를 진화시킨 결과이다. 본 논문은 데넷 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라카토슈 연구프로그램으로 분석한다. 데넷의 연구프로그램은 이론을 특징지우는 견고한 핵과 이를 보완하는 보호대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프로그램의 핵심 원리인 견고한 핵은 자연선택의 특성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고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알고리즘으로서의 자연 선택’, ‘지향성 진화가설’, ‘밈 적응’으로 구성된다. 이들 견고한 핵이 가지는 추상성을 보완하여, 구체적인 가설을 첨부하는 보호대는 ‘만능산과 크레인 비유’, ‘생산과 검증의 탑’, ‘다중원고 모형’으로 구성된다. 궁극적으로 이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Previous issues
  
Next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