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year:

  1.  5
    The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Job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Counseling.문성윤 )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105-130.
    본 연구는 철학상담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약성경 『욥기』를 고찰할 것이다. 욥의 문제는 각각 사탄의 대화에서 시작하여 친구들과 이성적 담화, 그리고 끝부분에 하느님과 만남을 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욥기』는 각각의 대화에서 문제가 드러나고 혹은 해소되는 측면이 있다. 각각의 대화에서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인간 이성이 절대적 지혜를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이성을 넘어선 차원이 있는지.’ 등 문제와 답변을 담고 있다. 필자는 구약성경의 지혜문학 『욥기』가 가지고 있는 지혜가 ‘호크마’의 영성적 의미를 향한 여정이라고 생각한다. 지혜는 사변적 이성의 것이 아니며, 삶과 괴리되어 있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Work Fatigue and Philosophical Counseling.박병준 )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5-31.
    오늘날 현대인은 만성 피로로 지쳐 있다. 한병철은 이러한 현대사회의 모습을 피로사회로 규정하고, 그 원인이 과도한 자기 긍정의 성과 주체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한다. 과도한 피로로 인한 소진증후군과 같은 정신적 질병은 일 중독의 도핑 사회에서 성과 주체가 보여주는 필연적 현상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피로의 탓을 오로지 성과 주체의 내적 원인으로만 돌리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성과 주체 자체가 이미 자기 성취와 자기 발견과 전혀 무관한 노동만을 암암리에 강요하는 사회의 외적 지배구조 아래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오늘날 질병으로서 인식되는 현대인의 만성적 피로가 근본적으로 어디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The Modern Meaning and Limitations of Homo Ludens.이병돈 )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83-10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2
    The Double Dilemma of Philosophical Dialogue.김여진 Huiling Wang )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61-8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A Case Stud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for Women in Their 20s Experiencing Depression Due to Self-Deprecation.Hye-mi Kim & Keung-Ja Hong - 2022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2:33-6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Previous issues
  
Next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