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An attempt to found human sciences: Simondon’s philosophy of technology. 황수영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195-226.
    시몽동은 생성과 존재를 결합하는 존재론적 기획 속에서 인간과학의 기초를 세우고자 한다. 선험적 주관을 거부하는 생성적 존재론에서 인간과학의 정당성근거를 도출하는 것은 특이하고도 모험적인 시도이다. 시몽동은 우선 에너지학과 정보이론의 기초 위에서 인간과 사회의 역동적 과정을 설명하는 ‘인간적 에너지학’이라는 개념을 확립한다. 그에게 인식은 존재의 발생과 동시적이고 따라서 인간과학의 정초의 정당성근거는 발생적 근거로 연결된다. 시몽동은 기술철학 저서에서 인간이 마술적 세계로부터 기술성을 통해 점차 스스로를 객관화해 온 과정을 서술한다. 이는 기술공학을 통한 인간과학의 통일성의 재조직화라는 문제로 이어진다. 오늘날 인간의 거부할 수 없는 존재조건이 된 기술적 우주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Ahn Chang-ho in Dosan - With a Focus on Daegongism -. 황수영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95-21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Bergson et la physique moderne: critique et influence. 황수영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8:85-11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6
    깡길렘의 합리주의적 생기론. 황수영 - 2021 - Modern Philosophy 17:63-98.
    이 논문은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첫째는 깡길렘이 제시한 규범성의 개념 뒤에 그만의 독창적인 존재론의 발생과 의미가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존재론은 베르그손의 사유의 흐름을 따른다. 깡길렘의 규범성과 베르그손의 생명의 약동의 유한성 사이에는 심층적인 친연성이 존재한다. 다음에 우리는 이 두 저자들 사이에 중요한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는데 이는 생명에 대한 그들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그들이 생명과학에 부여하는 무게에서 나타난다. 우리는 깡길렘에게서 생리적 상수들의 역할에 강조점을 두고 그의 합리주의적 생기론의 윤곽을 그려보고자 한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La philosophie du devenir et le concept de l'évolution : De l'actualité de l'interprétation bergsonienne de l'évolutionnisme. 황수영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75-9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Simondon's theory of individuatin -Between Bergson and Deleuze-. 황수영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199-22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Two meanings of transindividuality in Simondon’s philosophy. 황수영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5:47-73.
    개체초월성은 시몽동의 철학을 자연주의에서 인간주의로 이행하게해 주는 개념이다. 그것은 개체화론의 일반적 기획에서 물리생물학적 체제와 인간학적 체제를 구분하게 해 주는 기준이다. 개체초월성은 정신적 개체화와 집단적 개체화의 두 측면에서 접근함에 따라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즉 개체가 스스로를 넘어선다는 의미와 개체들이 집단적인 것으로 구조화된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개체와 집단은 상호연관된 동시적이고 지속적인 생성이다. 개체는 스스로를 넘어서서 주체로 거듭나고 개체들은 서로를 관통하면서 집단의 생물학적 성격을 벗어나 인간의 집단으로 된다. 개체초월적 활동은 이미 완수된 개체화를 벗어나 개체가 가진 전개체적 퍼텐셜을 더 광대한 차원으로 증폭시키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2
    The personality Understanding and the whole-person education in Confucianism. 황수영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0:97-11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2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Through Moral Cultivation of Myung-Jae Yun Jeung. 황수영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171-18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