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주자 인심도심설은 몇 차례의 변천과정을 거쳐 성립되었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인심을 무엇으로 규정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론체계의 정합성’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보다 중요한 문제는 ‘인심과 도심의 분기’이다. 왜냐하면, 주자는 하나의 마음이 인심과 도심이라는 두 마음으로 분기되는 요인에 대하여 어느 곳에서는 ‘지각의 근원[形氣/性命]’이라고 주장하고, 다른 곳에서는 ‘지각의 대상[欲/義理]’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 요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심을 ‘개인이 생존경쟁에서 승리하여 개체의 자연 생명을 보존하고 재생산하기 위한 사적인 심리적 기능’, 도심을 ‘타인을 배려하고 타인과 협동하여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공적인 심리적 기능’으로 정의한 다음에 인심과 도심의 분기에 대한 주자의 학설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였다.
‘마음의 지각은 하나이지만 인심과 도심 두 가지로 분기된다. 인심은 형기에서 발생하여 욕구를 지각하고 있기 때문에 불선한 것은 아니지만 위태로워 불안하고, 도심은 성명에 근원하여 의리를 지각하고 있기 때문에 선하지만 은미하여 발현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인심과 도심은 발생하는 근원이 다르기 때문에 지각하는 대상도 다르게 된다’라고 주장한다면, 인심과 도심이 분기되는 형이상학적 요인은 ‘형기’와 ‘성명’이 되고 인식론적 요인은 ‘욕구’와 ‘의리’가 된다. 전자가 주요인이라면 후자는 부차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그 유형(class)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에서 재구성한 학설은 논리적 정합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It is not well recognized that Zhu Xi’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was revised several times. He says that the two types of the mind are indeed one and the same mind and, also, that they are distinguished either by the object of perception or by the content of perception. He thus presents two different criteria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mind from the moral mind, while claiming that they are also one and the same mind. If these two claims remain incompatible, hi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is to fail.
In this paper, we shall try to find a way to render the theory consistent by analyzing a number of statements referring to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are eligible to define the human mind as “a private psychological function necessary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moral mind as “a public psychological function necessary for sustaining and developing the human community.” By applying the definitions to Zhu Xi’s theory and, also, showing that the criteria of differentiating the two types of the mind are from different classes, we reconstruct the theory in a way in which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said to be the two types of the mind, thought they really are one and the same mind.

목차

1. 緖論
2. 人心과 道心의 槪念 分析
3. 人心과 道心 分岐의 要因 : 知覺의 ‘根源’인가 知覺의 ‘對象’인가?
4. 人心道心說의 재구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105-00229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