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0.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0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여성, 장애인, 동성애자 등과 같은 소수자 혹은 약자를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며, 이는 심지어 사회적 갈등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논쟁과 갈등의 근저에는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견해의 차이가 놓여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논문은 ‘정치적 올바름’을 둘러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정치적 올바름’이 본래 의도한 목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정치적 올바름’에 관한 일반적인 논쟁을 살핀 후, 그에 대한 구체적인 주요 반대논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반대논증들은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첫째 부류는 이론적 측면에서 제기되는 반론들로서 주로 ‘정치적 올바름’의 이념이나 목적 혹은 실질적 내용과 관련된 것들이고, 두 번째 부류는 그의 실천적 측면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반론들로서 방법론 혹은 운동의 방식과 관련된 것들이다. 우리는 비판적 분석을 위해 첫 번째 부류에 속하는 반대논증들 중에서는 세 가지 논증, 즉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를 주장하는 논증, 학문적 자유에 대한 위협과 관련된 논증 그리고 사소한 것에까지 지나치게 확대한다는 논증을 대표적인 반대논증으로 선택하였고, ‘정치적 올바름’의 방법론에 대한 두 번째 부류의 반대논쟁들 중에서는 자기패배적 방법론이라는 반대논증과 부당한 수단의 사용이라는 반대논증을 선택하여 그 각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현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우려스러운 일은, 기득권과 맞서려는 친페미니스트, 친장애인, 친이주민, 친동성애 등과 같은 소수자 혹은 억압받는 자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세력의 등장이 아니라, 오히려 그런 세력에 대한 즉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과장된 경계와 비판, 반대, 혐오의 분위기가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라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Political correctness is ‘the avoidance of terms and behaviour considered to be discriminatory or offensive to certain groups of people’. And it is often defined as “the avoidance of forms of expression or action that are perceived to exclude, marginalize, or insult groups of people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or discriminated against.”
Before beginning to discuss a matter as complex and as controversial as political correctness, we have investigated an understanding of what this phenomenon is and more importantly, what it does.
In order to critique, we have classified the opposition’s arguments on political correctness into arguments directed at the ideological content and the methodology of PC. Arguments directed at the ideological content are divided into the threat to freedom of expression argument, the threat to academic freedom argument, and the degeneration into triviality argument; arguments directed at the methodology are divided into the argument that PC commits the very evils that it addresses and the argument that PC uses unjust means to get its way.
And then we have criticized of these opposition’s arguments on political correctness respectively.
We have concluded this paper by claiming that if PC means minimizing sexual and racial harrassment, discourgaing homophobic, racist, and sexist discourse within educational settings, and curtailing policies which victimize oppressed groups, then political correctness is not merely correct, but morally obligatory as well.

목차

한글요약
Ⅰ. 서언
Ⅱ. ‘정치적 올바름’ 에 대한 논쟁에 대한 논쟁
Ⅲ. ‘정치적 올바름’ 에 반대하는 논증
Ⅳ. ‘정치적 올바름’에 반대하는 논증에 대한 비판적 분석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