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노자와 불교의 사상을 통해 물질과 욕망의 종속관계에 대하여 비교,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춘추시대는 전쟁으로 살육이 자행되고 통치자가 전횡을 일삼던 시대였다. 노자는 이러한 약육강식의 현실앞에서 한발 물러서는 방법으로 無爲自然을 설파하였다. 그러나 무위는 현실의 도피나 물러섬이 아닌 인간의 허위의식과 탐욕으로 굴곡진 세계안에서 지혜로운 삶의 길을 내포하고 있다.
노자는 道를 근본으로 하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의 소박한 자연으로 보았으며, 인위적인 思考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하고 도를 따르는 사람들은 사사로운 마음이 없어 천지와 같아 검약하고 덕이 쌓여 욕망에 자신을 내맡기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반면 불교에서 제시한 무아론은 인간의 육체와 감각작용 그리고 모든 물질은 그 고정된 실체가 없는 空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無我는 삼라만상과 함께 인간도 無常하므로 자아의 의식과 對象에 대한 욕망 또한 그 실체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아를 단순히 소멸의 주체로만 볼 수는 없다. 즉‘깨달음’을 추구하는 진리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붓다는 이 세계는 아트만과 같은 궁극의 실체는 없으며, 萬象이 변화한다는 진리를 깨닫고 五蘊으로 구성된 자아의 번뇌와 욕망 또한 緣起에 의해 변화(생멸)를 거듭한다고 보았다. 이 논리는 노자의 無爲論이 추구하는 점과 다음과 같은 同異가 있었다. 불교는 번뇌와 욕망의 주체(자아)조차 해체(無我)한 반면, 노자는 탈자아적 관점에서 자아의 내면에 있는 욕망적 대상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여 그 함의에 차이가 있었다.
다만 노자의 무위론이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이 망각된 제도화된 사회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위선과 욕망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출발하여 무위자연에 천착하였으며, 불교가 인간의 욕망을 無明에 의한 三毒(탐,진,치)에서 비롯된다고 본 점, 그리고 노자가 사물을 氣의 응집과 소멸을 통한 변화로 보고 불교 역시 사물을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는 변화의 존재로 인식한 점에서 놓아버림, 비움, 물러섬, 깨달음이라는 공통된 지향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study a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and desire through Lao-tzu and Buddhis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as the age that people were recklessly killed and rulers were arbitrary. Lao-tzu elucidated the nature as it is, without being tainted by humans (無爲自然) as the method to take a step back from this reality of the law of the jungle. However, the natural state connotes a path in wise life in the tough world by false consciousness and greed, not escapism or stepping back. awareness and desire for objects (對象) are als.
Lao-tzu regarded things based on Tao (道) as simple nature as it is and said that the people who emphasize escaping from artificial thought (思考) and follow Tao are frugal as they are the sky and earth because they do not have personal feelings and give themselves over to desire because virtue accumulated. On the other hand, the selflessness theory presented by Buddhism argued that human bodies and senses and all materials are just emptiness (空) that is not actually tangible. Here, selflessness (無我) specifies that selfo unsubstantial because men are also meaningless (無常) with the universe.
However, this selflessness cannot simply be considered as the main agent of extinction. That is, it"s because it"s the main agent of truth that seeks "enlightenment." Buddha thought that there are no any ultimate true substances like atman in this world, people realize the truth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萬象) change, and anguish and desire of ego also repeat change (birth and death) by delay (緣起). This logic includes the points sought by Lao-tzu"s natural state theory (無爲論) an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同異). Buddhism dissolves (selflessness (無我)) even the main agent (ego) of anguish and desire, while Lao-tzu argued that people should escape from objects of desire in ego from the viewpoint of allocentric ego.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lications between them.
Lao-tzu"s natural state theory searched the nature as it is, without being tainted by humans beginning from criticism of hypocrisy and desire of ego in institutionalized society that human freedom and dignity were buried in oblivion, but Buddhism thought that human desire originated from the three poisons (三毒) (desire, craving and greed) by darkness or ignorance. And Lao-tzu thought that things are change by cohesion and extinction of spirits (氣), and Buddhism also perceived them as the existence of change that are actually intangible not being set in stone. In this respect, common directivity of dropping, emptying out, stepping back, and enlightenment were drawn from Lao-tzu and Buddhism.

목차

한글 요약
Ⅰ. 머리말
Ⅱ. 노자와 불교의 욕망에 관한 관점
Ⅲ. 노자와 불교의 탈욕망에 관한 해법
Ⅳ.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105-001100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