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理와 氣의 개념 정리는 자기가 처해있는 현실세계를 이해하고, 인간의 도덕적 윤리관을 자신의 철학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된다. 따라서 氣라는 것은 성리학에 있어서 인간과 자연,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즉 氣를 자연으로서의 氣와 인간중심과 윤리적 차원의 氣,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심성 차원의 氣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대표적인 조선성리학자들은 花潭 · 退溪 · 栗谷이 손꼽힌다.
退溪는 ‘理貴氣賤’이라 하여 氣를 천하게 여겼고, 花潭과 栗谷은 ‘氣’를 중시하는 이론체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花潭은 ‘一氣長存’이라 말하며 氣의 항존성을 주장한 반면, 栗谷은 ‘湛一淸虛之氣’라 하여 수양론적 도구로서 氣를 인식하는 등 그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성리학 체계 내에서 조선 초기의 이론을 정립한 花潭은 氣의 측면에서 ‘우주와 자연’의 존재론적 차원의 철학체계를 전개 하였다면, 뒤이어 조선 사화기에 등장한 退溪는 이상세계를 구현하기 위해 理를 강조하며 ‘觸處皆理’라는 신념을 가지고 理의 당위성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四端七情論에 의해 이론체계가 구체화 되면서 氣에 대한 인식이 심성론으로 그 경향성이 바뀌고 있다. 그러나 栗谷은 현실세계의 문제를 인식하고 氣를 湛一淸虛한 것으로 설정하며 수양론적 입장으로서 그 전개 양상이 바뀌고 있다. 이는 花潭의 관점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For neo - confucianism scholars, the concept of li and ki become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al world in which they are in and for understanding human moral ethics from their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us, ‘ki’ has been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areas of human and nature, existence and authority, fact and value in neo – confucianism. Therefore, ‘ki’ can be subdivided into ‘ki’ as nature, ‘ki’ as a human heart and ethical level, and ‘ki’ as a level of natural and human mind. In these studies, Hwadam, Toegye and Yulgok are most famous scholars in joseon neo – confucianism.
In Lichi Theory(理氣論), Toegye considered ‘ki’ to be humble like ‘li-gui-ki-cheon(理貴氣賤)’, Hwadam and Yulgok developed a theoretical system of ‘ki’. However, Hwadam has claimed the perenniality of ‘ki’, saying it is ‘il-gi-jang-john (一氣長存)’, while Yulgok recognized ‘ki’ as selfcultivational tool like am-il-cheong-heo-gi-ki(湛一淸虛之氣).
Hwadam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the early Joseon period of Neo - Confucianism within the Lichi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a philosophical system with an interest in space and nature in terms of ‘ki’. Yulgok, who appeared during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emphasized ‘li’ to realize the ideal world and emphasized its justification of ‘li’ with the belief that chock-cher-gea-ri(觸處皆理). and methodological tendency of perception of ‘ki’ has changed as the theoretical structure was shaped by the ‘sa-dan-chil-jung debate (四端七情論爭)’. Yulgok also recognized problems in the real world and set the ‘ki’ to be ‘dam-il-cheong-heo(湛一淸虛)’ As a selfcultivational(修養論) point, the development of Yulgok`s ‘ki’ is changing. This is a far cry from Hwadam`s point of view.

목차

한글요약
1. 들어가는 말
Ⅱ. 花潭의 宇宙論的 ‘氣’
Ⅲ. 退溪의 四端七情論에 나타난 氣와 理貴氣賤
Ⅳ. 栗谷의 理氣之妙와 本然之氣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