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비록 시험적 단계에 불과하지만, 마음에 대한 성리학적 개념들을 형식적으로 기술하여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인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도덕적 마음의 작용에 관해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성리학적 도덕행위자구현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가를 논의해 보았다.
성리학에서 마음의 개념을 설명할 때, 본체인 선천적 도덕 능력에 주목하는가 아니면 현실적으로 작용한 마음의 도덕성 여부에 주목하는가에 따라 개념화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필자는 후자에 가까운 율곡의 관점이 상대적으로 경험주의적이라고 보고, 마음을 실물처럼, 몸처럼 명백하게 설명하려고 했다는 점이 인공적 도덕행위자(AMA, Artificial Moral Agent) 토론에 참여하는 데 용이하지 않을까 하여 예시로 삼아 보았다.
율곡은 마음의 작용을 기(氣)의 ‘자동적 패턴[機自爾]’으로 설명하면서, 그 패턴이 도덕적 원리로 작동되도록 하는 수양방법을 제시했다. 그래서 필자는 우선 ‘자동적 패턴[機自爾]’이라 했던 기(氣)의 작용이 마음에서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분석하고, 그 다음에 마음의 도덕적 작용, 즉 도덕원리의 우선적 발현을 정형화할 수 있는가를 검토해보았다.
나아가, 검토의 과정에서 인공적 도덕행위자 논쟁의 쟁점 중 하나인 무의식적 도덕성이 수기(修己)의 차원에서는 용납될 수 없지만, 치인(治人)의 차원에서는 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필자는 비인격적 모델인 치인(治人) 시스템에 관한 논의를 위해 율곡의 정치개혁론을 검토해보았다. 이러한 시론으로 성리학적 인공적 도덕행위자 구현 가능성에 대한 본격적인 토론이 촉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Neo-Confucian concepts of the mind can be formally described and organized in a form that can be handled by a computer, although it is only an experimental stage.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function of the moral mind, I discussed whether it is possible to simulate a Neo-Confucian moral agent.
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mind in Neo-Confucianism, the method of conceptualization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you pay attention to the innate moral ability, which is the main body, or whether the morality of the mind has worked realistically. I considered Yulgok"s perspective, which is close to the latter, relatively empiricist, and tried to explain the mind as clearly as the real and as the body, so I used it as an example to participate in artificial moral agent (AMA) discussions.
Yulgok explained the action of the mind as an "automatic pattern" of energy and suggested a method of cultivating the pattern to work as a moral principle. Therefore, the author first analyzed how the action of energy, called "automatic pattern," develops in the mind, and then examined how the moral action of the mind, that is, the priority expression of moral principles, can be standardized.
Furthermore, I reviewed Yulgok"s theory of political reform to discuss the impersonal model of the Political system, judging that unconscious morality, one of the issues of the artificial moral actor debate, is unacceptable at the level of hand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is theory will trigger a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Neo-Confucian artificial moral agent.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도덕행위자 시뮬레이션에 관한 기존 연구
Ⅲ. 도덕적 마음 시뮬레이션의 가능성
Ⅳ. 도덕적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가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