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앎의 분석에 대한 반례인 게티어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면서,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앎의 분석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의 핵심은 앎의 필요조건으로 ‘인식주체가 상정한 세계’에는 기본적으로 거짓이 없어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다. 우리의 해결 시도가 기존의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과 다른 점은, 인식주체가 상정한 세계에 그 사람이 현재 실제로 형성하고 있는 믿음뿐 아니라 그가 받아들일 용의가 있는 성향적 믿음까지 포함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이 실패한 이유가 주어진 상황 주변에 잠복한 거짓 명제를 수면 위로 드러내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가 제시한 앎의 추가 조건은 기존의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에 대한 반례들이 피해갈 수 있었던 숨어있는 거짓 명제들을 인식 주체가 상정한 세계 안으로 포함시키기에, 우리의 새로운 제안이 게티어 문제뿐 아니라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이 지니는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offer a new solution to the Gettier cases which are the most powerful counterexamples to the traditional analysis of knowledge. Our proposal can be included under the umbrella of “Solution by adding no-falsehood condition (SANC)”. To solve the problem, we add a fourth condition to the analysis of knowledge, which can answer the alleged counterexamples to the general SANC approach as well as to the original Gettier examples. The core of our idea is to claim that there should be no falsehood in “the world accepted by 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SANC and our proposal is this. On the one hand, SANC only requires there should be no falsehood in S’s occurrent beliefs that provide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our solution requires there should be no falsehood in S’s dispositional beliefs. We discover that the reason why SANC is unsuccessful is due to the failure of eliminating false propositions which are lurking around the case. According to our opinion, by using the concept of the world accepted by S, we can get rid of those false propositions, which caused the problem.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전통적인 앎의 분석과 게티어 반례
3. 거짓믿음배제 접근방식의 내용과 문제점
4. 새로운 해결 시도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100-001626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