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지혜는 본래부터 哲學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또한 철학이 가장 애호하는 개념이기도하다. 이 글에서는 중국철학에서의 지혜의 위상을 살펴본다는 차원에서 지혜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智와 明이 儒學의 四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검토했다.
공자가 강조한 正名論의 영향 때문인지 四書에서는 대체로 智와 明에 내재된 ‘지혜’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비교적 충실히 사용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四書 중에서 『論語』와 『孟子』에는 智에 관한 직간접적인 서술이 비교적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다. 내용상으로 보면, 智와 仁의 관계, 智者의 모습, 智의 문제점, 그리고 智의 후천적 계발 가능성 등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반면에 『大學』에는 유학의 大綱을 간략하게 기록해서인지 智에 관한 직접적인 서술은 찾아보기 어려우나 간접적으로는 智와의 연계성이 『대학』 전체적으로 내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中庸』에는 다시 智者를 주제로 한 내용이 비교적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智와 달리 明과 관련해서는 『논어』와 『맹자』 그리고 『대학』에는 주목할만한 내용이 많지 않다. 반면에 『중용』에는 明과 관련하여 四書 중에서 가장 의미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Wisdom is inherently inextricably related to philosohy, and is also the concept that philosophy loves the most. In this article, at the level of examining the coordinates of wisdom in Chinese philosophy, I reviewed how the terms Wisdom and Brightness, which contain the meaning of wisdom, are used in the Four Books of Confucianism.
Perhaps it i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Confucius’ emphasis on the theory of rectification of names that the Four Books show a tendency to relatively faithfully use the positive meaning of ‘wisdom’ inherent in Wisdom and Brightness. Among the Four Books, The Analects and Mencius contain relatively diverse descriptions of Wisdom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terms of content, they contain in common the relationship between Wisdom and Benevolence, the appearance of the man of wisdom, the problems of Wisdom, and the possibility of Wisdom’s acquire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find in Great Learning any direct description of Wisdom, It might be due to its brief records of the main story of Confucianism. However, indirectly it contains overall connection with Wisdom. Doctrine of the Mean contains relatively abundant contents on the subject of the man of wisdom again. However, unlike Wisdom, regarding Brightness, there are not many noteworthy contents in the Analects, Mencius, and Great Learning. Meanwhile in regard to Brightness Doctrine of the Mean contains the most meaningful content among the Four Books.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智와 明의 글자 형태에 대한 검토
Ⅲ. 四書에서 智와 明의 사용 양상에 대한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105-001598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