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논자는 이 글에서 한국의 현행 고교 윤리(도덕) 및 철학 교과서에 나타난 반철학적·비철학적 교화의 흔적들을 적시하며 그것들을 극복하는 올바른 방향성의 윤곽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고등학교 고전과 윤리』, 『고등학교 철학』 등 네 종의 검인정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논자는 각각 ‘평면적·나열적 내용 구성’, ‘윤리의 도구적 합리화’, ‘동아시아 전통의 특권화’, ‘의사소통의 수직적 왜곡’으로 요약되는 네 가지 문제점이 그러한 교화의 흔적으로 교과서에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맨 먼저 논자는 ‘평면적·나열적 내용 구성’에 대해 향후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단순히 평면적이고 나열적인 방식에서 보다 더 입체적이고 문제 제기적인 방식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째로 ‘윤리의 도구적 합리화’에 대해서는 교과서가 도덕적인 양심을 자양하는 밑거름이 되어야지 단순히 유불리에 따라서만 행동하는 타산성의 배양토가 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셋째로 ‘동아시아 전통의 특권화’에 대해서는 동아시아 사상을 단순히 그것이 ‘우리 것’이란 이유로 윤리책에 싣기 전에 그중에서 윤리와 관련 있는, 그래서 윤리책에 실릴 만한 요소들을 가려내는 ‘윤리적 여과’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넷째로 ‘의사소통의 수직적 왜곡’에 대해서는 수업에서 행해지는 토론이 무리한 다수결로 결론을 급조하는 형식적 의결의 절차가 아니라 모두가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드러내고 타인의 생각을 충분히 경청하며 ‘함께하는 발견’에 도달하는 합리적 의사소통의 절차로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In this essay I show the traces of anti-philosophical or non-philosophical indoctrination in Korean current upper secondary textbooks of ethics (morals) and philosophy, and tentatively outline the right prescriptions to cope with th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is, Life and Ethics, Ethics and Thought, Classics and Ethics, and Philosophy, I could find that the four problems respectively summarized as the ‘plane and arraying architecture of contents’, the ‘instrumental rationalization of ethics’, the ‘nationalistically privileged East Asian tradition’ and the ‘majoritarian misguidance of communication’ come into notice as the traces of such indoctrination in them.
Firstly, as for the ‘plane and arraying architecture of contents’ I assert that the architecture of contents of those textbooks should be henceforth changed from merely plane and arraying ones to multi-sided and questioning ones.
Secondly, as for the ‘instrumental rationalization of ethics’ I emphasize that those textbooks should not be the fosterers of prudence which make students do only the profitable, but the base manure nourishing their moral conscience.
Thirdly, as for the ‘nationalistically privileged East Asian tradition’ I insist that the authors of textbooks must complete, above all, ‘ethical filtering’, picking out the ethics-related elements of East Asian thought before they insert it into the textbook of ethics simply giving the justification that it is ‘ours.’
Fourthly, as for the ‘majoritarian misguidance of communication’ I advocate that the discussion items in the textbooks should not lead students to the hastily made decisions by majority, but to the rational communication through which every student can freely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listen to the others’ thoughts sufficiently and arrive at the ‘common discoveries.’

목차

논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교과서에 나타난 반철학적·비철학적 교화의 징후들
Ⅲ.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