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절대적 삶의 기준으로 제시되는 종교적 가치체계와 사상은 다문화사회의 현실 속에서 통섭과 공존의 지혜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호응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종교나 사상에 근거한 인성교육에서 벗어나 각 종교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타 종교를 수용하고 공존할 수 있는 다문화 융합의 인성교육 모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영남지역 초기 기독교인을 주목하고자 한다.
영남지역 초기 기독교인은 유교와 기독교의 경계 지점에 처했던 종교인이다. 그들은 유학을 공부하다가 기독교로 개종하긴 했지만, 유교와 기독교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양자 간의 대화와 소통을 시도했다. 그들의 신앙고백문, 성경번역, 성경해석을 중심으로 선비-크리스천이 추구해야 할 인간상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선비 크리스천들의 성서 해석에 담긴 유교적 요소와 기독교 성서신학의 주석 작업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선비 크리스천들의 성서 해석에 담긴 특성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유교와 기독교가 만날 수 있는 지평을 마련한 후에 선비-크리스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논문에서는 유교의 도덕성과 기독교의 영성을 결합한 ‘선비-크리스천 인성교육’을 논하였다. 선비 크리스천 인성교육은 유교의 도덕 교육의 철학적 기반과 기독교의 영성 교육의 종교적 기반에 근거한 인성교육을 말한다. 특히 다양한 맥락에 따라 추구해야 하는 올바른 관계윤리에 집중된 유교 도덕성과 주체적 행위자로서의 참된 ‘나’를 추구하는 기독교 영성의 융합은 인성교육에 있어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논문에서는 유교의 도덕성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한계를 기독교의 영성으로 보완하고, 기독교 영성에 근거한 인성교육의 한계를 유교의 도덕성에 근거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As Korean society enter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eligious value system and ideas presented as absolute standards of life demand the wisdom of consensus and coexistence in the reality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deman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personality education model that can accommodate and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without damaging the identity of each religion, away from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specific religions or ideas.
In the paper, early Christians in the Yeongnam region were studied. This is because early Christians in the Yeongnam region were religious people who were at the border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Although they converted to Christianity while studying abroad, they attempted to communicate and communicate between the two,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Character education that combines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and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was discussed. This character education refers to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ical basis of moral educ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religious basis of spiritual education of Christianity. The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were supplemented with Christian spirituality, and the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were supplemented based on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의 선비 크리스천 등장
Ⅲ. 영남지역 선비 크리스천들
Ⅳ. 선비 크리스천의 인성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