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건강과 질환의 현상학적 정의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의학 현상학은 질병의 원인을 단순하게 환자의 신체 밖에 존재하는 병원체에서만 찾는 것이 아니라 신체 내부의 환경에서도 찾으려고 시도한다. 의학 현상학은 현상학적 세계 고찰을 통해서 환자의 내면적 체험을 중시하게 되었다. 최근 의학과 간호학에서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기초해서 이러한 환자의 체험에 대한 분석을 담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 현상학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연구 명칭은 현상학적 방법론이지만 그 내용은 형식적인 틀에 머물고 있는 연구물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현상학자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현상학의 기본 개념들이 어떻게 의학 현상학에서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작업이 요구된다. 실재로 국내에는 현상학자들의 텍스트에 기초해서 의학 현상학을 소개하는 전문적인 논문들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런 기초 작업을 위해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하이데거의 『시간과 존재』에 기술된 ‘내집에 없음’(Unheimlichkeit)이란 개념과 질환 체험과 건강 체험의 유사성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의 몇 가지 중요한 개념들을 분석하면서 이것들이 어떻게 의학 현상학에서 응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최종 목표이다.

Phenomenology of medicine tries to find the cause of disease not only in the pathogen that exists in the patient`s body, but also i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body. The phenomenology of medicine has been focused on the internal experience of patient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world view. In recent medical and nursing studies, we are conducting studies on the analysis of experience of these patients based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phenomenology itself, there are a lot of wrong result of researches of which the name of the research 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ut the contents are not authentic phenomenological. Therefore, through the text analysis of phenomenologists such as Husserl and Heidegger, we need basic work on how basic concepts of phenomenology can be applied in phenomenology of medicine. In reality, there are very few professional papers in Korea that introduce phenomenology of medicine based on the texts of such phenomenologists. For this basic work, I examines the notion of `uncanny`(Unheimlichkeit) described in Heidegger`s Sein und Zeit, and its similarity to illness experience and health experience. The final goal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ome of the important concepts of Heidegger`s phenomenological ontology which can be applied in phenomenology of medicine.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면서
Ⅱ. 건강과 질환
Ⅲ. 내집에 없음의 기분
Ⅳ. 진리사건과 지평
V. 나가면서 : 의학 현상학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