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유럽 역사의식의 위기에 대한 리쾨르의 관점을 분석하고 그의 재구축 방향을 검토한다. 그는 유럽 역사의식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유럽의 특성을 언급하고 환기시키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 유럽에 대한 그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의식의 위기를 분석하고 극복의 방향을 제시할 때, 그가 주로 활용하는 것은 코젤렉의 개념들이다. 대표적으로 ‘경험 공간’과 ‘기대 지평’ 같은 개념들을 사용하여 유럽 역사의식의 상황을 분석한다.
유럽 역사의식의 위기는 기본적으로 유럽의 고유한 경험 공간을 구성하는 과거 유산들의 ‘복합성’과 관련된 취약성으로부터, 보다 정확하게는 이 취약성에 대한 왜곡된 대응으로부터 발생한다. 과거와 연관된 병리는 미래와 현재의 위기, 혹은 병리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붕괴된” 유럽의 역사의식을 재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억과 전통의 병리, 현재의 불모성 그리고 미래의 예기의 병리를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성격은 새롭게 해석된다.
유럽에 대한 리쾨르의 인식은 유럽의 역사의식에 대한 분석의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그러한 인식이 나타나는 배경과 맥락을 함께 고려하면서 유럽에 대한 그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Ricoeur’s analysis of the crisis of Europea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ts restructuring. He mentions and recalls the characteristics of Europe by analyzing the nature of European historical consciousness. When analyzing the crisi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overcoming, it is Koselleck"s concepts such as ‘space of experience’ and ‘horizon of expectation’ that he mainly uses.
The crisis of European historical consciousness basically arises from the fragility associated with the "complexity" of past heritages that make up Europe"s unique space of experience, and more precisely from the distorted perception of this vulnerability. In order to reconstruct the “collapse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Europe by the effects of crisis, it is necessary to heal the pathology of memory and tradition, the infertility of present, and the pathology of future anticipation.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s of past, present and future are interpreted newly.
Ricoeur"s understanding of Europe appears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analysis of European historical consciousness. Considering the context and context in which such understanding emerge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nature of his understanding of Europe.

목차

한글 요약
Ⅰ. 서론
Ⅱ. 유럽 역사의식의 위기
Ⅲ. 유럽 역사의식의 치유, 혹은 재구축
Ⅳ. 경험 공간과 기대 지평의 윤리적, 정치적 함의
V.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105-001100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