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인간의 언어능력은 가장 경이로운 것임에도 인간은 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언어는 인간의 본질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인간의 본질을 바탕으로 인간의 언어능력의 신비가 밝혀져야 한다고 논자는 생각한다. 즉 마음은 무엇인지, 마음은 지식을 어떻게 만드는지, 그리고 인간의 지식과 언어는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통해 인간의 언어능력을 이해하는 것이 설득력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새로운 과학으로 탄생한 인지과학이 인간의 언어에 대한 만족할만한 진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언어는 인간의 본질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인공지능의 언어적 한계에서도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 방법을 생각해 낼 수 없다고 하여 이 문제를 부정하는 것도 불합리한 태도이다. 언어의 본질 문제는 심신의 문제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가질 때에만 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심신의 문제는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일상적 이해를 반영하는 해법에서 그나마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칸트의 인식론은 심신의 문제나 마음, 지식, 언어의 연관성에 대하여 많은 면에서 일상적 이해를 반영하는 명확한 개념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인식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통해 심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지식을 만들어내는지, 그때 마음은 어떤 속성의 것인지, 마음은 범주를 통해 어떻게 대상을 개념화하는지, 그리고 개념을 대상에 어떻게 적용하여 언어를 사용하는지 등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이론체계를 제시해 준다. 한마디로 칸트 인식론은 심신문제와 언어의 문제를 의미 있게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칸트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심신의 문제와 언어의 본질 문제가 어떻게 관련되어 설명되는가를 탐구하고, 칸트의 언어론이 갖는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Human language abilities are the most marvelous. Since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man, we must reveal the mystery of human language ability based on human nature. It is a convincing way to understand human language ability through what the mind is, how the mind makes knowledge, and how human knowledge and language are related.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language can only be restated when it has a clear concept of the mind and body. The problem of mind and body is still one of the questions that can not be solved easily, but there would be a solution when it comes to reflection of everyday understanding. Kant"s epistemology presents a clear concept that reflects everyday understanding in many respects on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body, mind, knowledge and language. It gives us some explanation for how the mind and body interact and create knowledge through the mechanism through which recognition is made, what attributes the mind is at that time, how the mind conceptualizes objects through categories, and how clear the use of concepts is. Based on Kant"s epistemolog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problem of mind and body and the nature of language are solved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Kant" theory of language.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심신의 상호작용과 마음
Ⅲ. 지식과 언어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105-000942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