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기억은 한편으로는 과거의 충실한 보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의 자유로운 변형이라는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면모를 가진 것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런데 기억을 외부로부터의 지각 인상이 우리의 마음에 남긴 흔적으로 이해하는 전통적인 밀랍 각인 모델에서는 기억의 이 양면성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 기억의 존재 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요구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우리의 가설은,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 1장에 제시된 이미지 개념을 확장하여, 베르그손의 본의와 반대로 기억 또한 지각과 마찬가지로 이미지로 보고, 기억과 지각의 차이를 동일한 이미지들의 상이한 관계 체계들에서 찾는 데 있다. 이에 따를 때, 기억의 충실한 보존은 이미지들이 시간 순서에 따라 맺는 관계와 관련 되며, 반대로 기억의 가변적 재생은 동일한 기억 이미지가 지각적 이미지 체계와 인접과 유사의 논리에 따라 연결되는 데에서 성립한다. 그런데 베르그손이 설명하는 인접과 유사는 구조주의 언어학자 야콥슨의 은유와 환유에 대한 설명과 일치한다. 따라서, 기억의 가변적 변형은 기억 이미지 자체의 변형이 아니라, 기억 이미지들이 은유와 환유의 ‘언어논리’에 따라 지각 이미지들과 관계 맺게 됨으로써 생겨나는 ‘의미’ 차원의 변형이다. 이렇게 해서, 본 연구는 기억의 충실한 보존과 자유로운 가변성의 양면성을 기억 이미지 자체와 기억 이미지들이 언어논리에 따라 맺는 관계라는 두 차원을 구분함으로써 해명한다.

Since Plato and Aristotle, memory has been defined as having a dual aspect of faithful preservation on the one hand and a free transformation of the past on the oth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x stamped model, which understands memory as a trace left in our minds by the perceptual impression from the outside, we can not properly explain this double face of memory. This is why a new model of the way memories exist is required. Our hypothesis applies to the memory the concept of images presented in Chapter 1 of Bergson’s Matter and Memory, though opposed to Bergson’s own intention, and finds the difference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in those of systems of relations of the same images. According to this, the faithful preservation of memory is related to the relation of images in temporal order, and conversely, the variable reproduction of memory is formed in that the same memory image is connected with perceptual image re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logic of similarity and contiguity. However, the similarity and contiguity described by Bergson coincide with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structuralist linguist Jakobson. Therefore, the variable deformation of memory is not a deformation of the memory image itself but a deformation of the ‘semantic’ dimension arising from the memory images being related to the perception images according to the ‘language logic’ of metaphor and metonymy. Thus, this study clarifies the two dimensions of memory which are preservation and free variability by distinguishing between memory image itself and the relations of these ones based on the logic of the language.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기억의 역설과 『물질과 기억』
2. 기억은 이미지인가?
3. 기억은 어떻게 스스로 보존되는가?
4. 기억은 어떻게 재생되는가?
5. 결론: 의미, 자유, 삶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32-003143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