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행복은 최고선으로서 ‘덕에 따른 영혼의 활동’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덕 이외에도 “외적으로 좋은 것들”(ta ektos agatha), 예를 들어 부나 명예 또는 좋은 태생이나 출중한 외모와 같은 것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고 말한다. 행복에 대한 ‘덕의 충족성 원리’와 ‘외적인 좋음의 추가적 필요성 원리’는 행복의 구성원리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외적좋음의 자체적 가치를 인정하게 되면 덕의 충분성 원리가 훼손되고, 외적좋음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으면 행복실현을 위한 추가필요성 원리가 부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그의 외적좋음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외적좋음이 없이는 덕에 따른 활동이 불가능하거나 쉽지 않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에 주목하여, 이 말이 수단과 운적인 것으로 말해지는 외적좋음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지를 규명한다. 특히 수단으로 말해지는 친구나 부와 같은 외적좋음과 덕활동의 상관관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와 형상 개념을 통해 이해를 시도한다. 이것은 수단으로 말해지는 외적좋음을 질료(hylē)에 상응하는 ‘가능태적 좋음’으로, 덕을 형상(eidos)적 원리로 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외적좋음은 덕과 더불어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행복을 실현하는 구성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ristotle, eudaimonia or happiness is defined in conclusion as activity of the soul in accordance with virtue which is appealed to human function. Also he says that eudaimonia requires in addition being sufficiently equipped with external goods(ta ektos agatha) like friendship, wealth, political office, physical beauty, and good birth. The question is, does Aristotle insist whether virtue suffices for happiness or the possession of external goods should be included in his definition of eudaimonia. In other words, why does Aristotle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external goods and luck to eudaimonia? I think Aristotle’s view of the sufficiency thesis of virtue is not well harmonized with addition thesis of external goods.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 illuminate Aristotle’s view of external goods and try to reassess their value in relation to his theory of happiness and virtue.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I focus on Aristotle’s mention that ‘it is impossible or not easy to do fine actions without the external goods’, and investigate how his announcement could be applied to the external goods. Especially concerning to the external goods by tools such as friend or wealth, I try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external goods and the virtue by means of Aristotle’s hylomorphism. That is, I consider the external goods as matter(hyle), i.e., potential goods(dynamei agatha) on the one hand, and the virtue as form on the other, so that eudaimonia is realized by the virtuous activity by these two factors. I claim that the virtuous activity needs the external goods as tools in order to be actualized, and Aristotle acknowledges that eudaimonia needs the external goods and also at the same time preserve his formal definition of happiness as a final good consisting in virtuous activity, though the external goods have not their intrinsic or independent value.

목차

【요약문】
1. 서론 : 행복은 외적좋음을 필요로 하는가?
2. 행복과 외적좋음의 인정여부
3. 수단(organon)으로서의 외적좋음과 덕활동의 관계
4. 운(tychē)과 관련된 외적좋음과 행복의 관계
5. 아리스토텔레스 행복론의 현재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0-001314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