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질서의 문제’는 사회학자 탈코트 파슨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사회과학의 근본 문제로서 사회의 통합원리를 지칭한다. 파슨스는 홉스와 로크를 질서의 문제를 최초로 정식화했던 사상가로 지목한다. 자연 상태에서 체결한 사회계약이 그들의 해답이었다. 로크의 정치사상을 계승한 18, 19세기 영국의 자유주의자들은 질서의 문제에 관한 해법을 공유했던 사상가 집단이라고 할 것이다. 벤담의 경우는 어떠할까? 근대 국가를 위한 새로운 법체계를 구축하려고 했던 그의 시도는 자유주의자의 질서 모델에 부합하는가? 이 질문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벤담의 관심은 자유주의 전통과의 교점이자, 민법의 원리에서 헌법의 원리로 전개되는 그의 사상적 진화과정을 반영한다. 평등 개념과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적 질서에 관한 그의 견해를 재구성해 보면서, 필자는 벤담을 자유주의 전통에 귀속시킬 수 없는 결정적 이유를 설명할 것이다. 질서의 문제는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양측 모두에서 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답변에 담긴 역사의식은 완전히 다르다. 개혁을 꿈꾸는 실천가라면 질서의 역사적 상대성에 주목하겠지만, 진리를 추구하는 이론가의 시선은 그것의 역사적 항상성 혹은 불변성에 집중될 것이 명백하다. 벤담의 최종 목적지는 개혁인가, 진리인가?

The ‘problem of order’ is a term coined by sociologist Talcott Parsons to refer to the unifying principle of society as a fundamental problem of social science. Parsons identified Hobbes and Locke as the first thinkers to formulate it. As we know, their solution was the hypothesis of contract in the natural state of human beings. The British liberalist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o inherited Locke’s political ideas, were a group of thinkers who shared a common solution to the problem of order. What about Bentham? Does his attempt to establish a new legal system for the modern state fit into the liberal model of social order? This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my essay. Bentham’s theor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results from the extension of his concern from the principles of the civil code to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code. In reconstructing his proper model of social order around the conceptions of equality and liberty, I will explain the crucial reasons why Bentham departed from the liberal tradition. Actually the problem of order can be answered by historical absolutism as well as by historico-cultural relativism, but their historical vision is quite different. The reform-minded practitioner will focus on the historical relativity of order, while the truth-seeking theorist will focus on its historical consistency or immutability. Did Bentham’s ultimate end consist in reform or in truth?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벤담의 입헌 민주주의에 대한 몇 가지 해명
3. “평등을 향한 부단한 전진”
4. 개인적 자유와 정치적 자유의 동일성
5. 지속적 개혁의 제도화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105-00202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