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우주론이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이라면, 우주철학은 우주론을 대상으로 하는 철학으로, 주로 우주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이 가능한지를 다룬다. 우주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하나의 전체로 정의된다. 이는 우주론에 과학성, 혹은 과학으로서의 가능성이라는 문제를 제기하며 또 특유의 자기성찰성으로 이어진다. 최근 다중우주 개념이 대두되면서 이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는데, 이로부터 우주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열린 개념이며, 우주와 우주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는 이 논문에서 우선 우주철학을 개괄하고, 그 핵심 문제로 현대우주론에서 우주가 어떻게 규정되는지, 이것이 다른 과학적 대상과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논할 것이다. 그리고 우주철학의 방법론으로서 우주를 우주론이라는 하나의 과학이 다루는 대상으로서 접근하는 푸코의 의미에서의 “고고학”을 제시할 것이다. 또 칸트와 콩트의 사례를 통해 오늘날 우주와 우주론에 대한 이해의 근원을 17-19세기 고전과학의 우주론적 사유에서 찾을 수 있음을 보이고, 이것이 우주철학에 어떤 함축을 갖는지를 살필 것이다.

Cosmology is defined as a science of the universe. What is the universe? Is cosmology a science? Is cosmology as a science possible? Those are the main problems of the philosophy of cosmology. The universe is defined as everything that exists taken as a whole; its main features, which are the unicity and the totality, make it hard to assimilate to physical objects in general. This is why cosmology is inevitably led to the question of scientificity, or its possibility, so as to be prominently self-reflexive. Meanwhile, recent debates around the so-called “multiverse cosmology” show us that the notion of the universe is not given a priori or nor as a fixed term; it can be understood as an object of science (cosmology) which has its own history, and as a historical construct, susceptible to an archeological approach in Foucauldian sense. This leads us to the Classical Science from the 17th to 19th where the term cosmology was born, there was no systematic and scientific theory about the universe. I will examine the paradox of “Classical Cosmology,” especially featured in the conceptualization of notions like “universe” and “world” in Kant and Comte as emblematic and symbolic cases. In conclusion, I will show how this remains “problematic” in contemporary cosmology and its philosophy.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 우주론의 “탄생”과 우주철학
2. 우주철학 개괄
3. 우주의 개념
4. 우주론의 고고학
5. 나가는 말 : 우주의 “재탄생”과 또 하나의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100-001281515